2024.12.15 (일)

  • 맑음동두천 -4.7℃
  • 구름조금강릉 1.1℃
  • 맑음서울 0.4℃
  • 대전 0.7℃
  • 구름많음대구 0.4℃
  • 맑음울산 1.2℃
  • 구름조금광주 0.9℃
  • 맑음부산 2.7℃
  • 구름많음고창 2.6℃
  • 흐림제주 8.1℃
  • 구름조금강화 -3.1℃
  • 흐림보은 -0.6℃
  • 흐림금산 -1.1℃
  • 구름조금강진군 3.7℃
  • 맑음경주시 2.3℃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전문가 칼럼] 김종면의 위조상품 백문백답<3> 짝퉁의 역사? 조선과 청나라에서 로마와 바이킹까지

(조세금융신문=김종면 변리사/위고페어 대표) 최근 테무,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진출과 함께 짝퉁 이슈가 부각되고 있는 모양새다. 값싼 중국산짝퉁 제품이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를 통해 많이 유통된다는 것인데, 사실 짝퉁 문제는 이들 플랫폼 이외에도 대부분의 온라인마켓에서 발생하고 있던 문제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짝퉁이 이렇게 온라인마켓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일까? 그렇지 않다. 이커머스 시장이 발달하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짝퉁은 오프라인 시장을 통해 유통되었고, 특히 중국에서는 짝퉁제품만을 전문적으로 파는 대형 시장들이 여러 개 있었다고도 한다.

 

그렇다면 짝퉁은 언제부터 있었던 것일까가 궁금해진다. 짝퉁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들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는 “청나라에도 청심환이 많지만 가짜가 수두록한데, 조선에서 만든 청심환은 진짜라 믿을 수 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통해 청나라에서는 짝퉁 우황청심환이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윤기의 "무명자집"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도라지를 인삼으로, 까마귀고기를 꿩고기로, 말고리를 쇠고기로 속이는 자도 있고, 누룩에 술지게미를 섞고 메주에 팥을 섞는 자도 있다. 그 밖에도 셀 수 없을 정도다. 요즘은 소금이 귀한데 간신히 사고 보면 메일가루를 섞어 놓는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에도 다양한 짝퉁 제품들이 있었고, 이런 짝퉁을 판매하는 사람을 안화상이라 불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짝퉁 상인의 표적은 귀한 약재와 골동품이었다고 한다. 가장 심한 것은 인삼이었는데, 대동법이 시행되면서 인삼 납품은 공인이 담당하게 되었는데 인삼의 수요는 늘어났지만 화전 개간으로 인삼 산지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었다. 도저희 가격을 맞출 수 없었던 공인들은 도라지와 더덕을 아교로 붙이거나 인삼 껍데기에 족두리풀 가루를 채워 넣어 가짜 인삼을 만들었다. 이를 조삼이라 한다.

 

심한 경우에는 납을 넣어 무게를 늘렸다. 쓰시마 번주가 조선 상인에게 사들인 가짜 인삼을 에도 막부에 바쳤다가 가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외교 문제로 비화한 적도 있다고 한다.(장유승 저, 조선잡사 216쪽 참조)

 

한편 오래된 병에서 떼어낸 인기 많은 라벨을 옮겨 붙여 오래된 와인을 새롭게 탄생시키는 위조 행위는 지금 뿐 아니라 고대 이래 성행했다.

 

 

이탈리아 남부의 캄파니아 지역에서 생산되던 최고급 ‘팔레르넘(Falernum)’ 와인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었고, 노예를 거래할 때 화폐 대신 쓰이기도 했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팔레르노 와인의 가격은 보통 와인의 4배나 되었는데, 그러다 보니 짝퉁 팔레르노 와인을 만들어 판매하는 행위가 성행했고, 로마제국에서 유통되었던 팔레르노 와인 대부분은 진품이 아니었을 정도라고 한다.(이언 태터솔 ‘와인의 역사’ 참고)

 

2008년 가디언지에 게재된 기사에 따르면, 1000년 된 유물에서 발견된 바이킹의 검들이 짝퉁이었다고 보도하고 있다. 기사의 내용을 보면 진품 검과 짝퉁 검이 보기에는 너무 똑같아서 그 차이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이고 그 차이는 실제로 사용을 할 때 나타나며 이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어찌 보면 슬프면서도 재미있는 멘트를 남기고 있다.

 

<4편>이 이어집니다.

 

[프로필] 김종면 변리사 

•(현)위고페어 대표이사

- AI기반 위조상품 토탈솔루션 서비스

•(현) 특허법인 아이엠 파트너변리사

•(전) 독일로펌 Stolmar & Partner 한국변리사

•(전) 한국 IBM, System Engineer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건전재정에서 민생 확대재정으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건전재정은 관치에 뿌리내린 시장주의 이념이 만들어낸 국정 기조이지만, 이제는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시스템 리스크로 진화하고 있다. 세수펑크 처방전은 국채발행 금지와 부자감세 원칙을 유지하며 고강도 긴축재정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수펑크를 막기 위해 한은 급전이나 기금 돌려막기에 의존하거나, 그것도 어려우면 국민들이 더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다. 결국, 건전재정을 강조할수록 재정 상황이 더 불건전해지는 재정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문제는 건전재정이 재정 이슈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정책 전반에 2차 충격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산층과 서민경제가 어려울 때 일방적인 민생 긴축재정을 고집하면, 구조적 소득충격이 만성적 내수불황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하게 된다. 최근 재정발 경제위기, 즉 2년 연속 “1%대 저성장 쇼크”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수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특단에 특단의 내수진작책이 필요한 이유다. 진짜 건전재정은 경기가 어려울 때 재정을 풀어 경제를 살려내고 경제가 좋아져 다시 곳간을 채우는 전문 역량을 요구한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에 더 불건전해진 나라살림
[인터뷰] 이석정 前 세무사고시회장 “고시회, 세전포럼, 전국순회교육으로 한 단계 도약”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이석정 제26대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이 2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장보원 신임 회장에게 바통을 넘겼다. 2022년 임기를 시작하면서 ‘회원 중심, 행동하는 고시회’를 모토를 내걸었던 이석정 號(호)는 세무사로서 첫발을 내딛는 청년 회원의 고충을 덜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세무사전문분야포럼을 창설하고 개인의 전문성을 높이지 않으면 세무업계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또, 지방세무사고시회와의 연대를 강화하면서 전국순회교육을 차질 없이 진행했다. 이전부터 진행됐던 청년세무사학교도 꾸준히 이어가면서 창업 멘토링스쿨의 의미를 더욱 깊게 새기게 됐다. 이석정 전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을 만나 2년 간의 임기를 되돌아봤다. Q. 지난 2년 간의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의 임기를 돌아보면서 감회가 남다를 듯합니다. 소감 말씀해 주시죠. A. 2년이 너무 짧게 지나간 것 같습니다. ‘회원 중심! 행동하는 고시회’를 모토로 26대 고시회가 22년 11월에 닻을 올렸는데 어느덧 마무리했습니다. 전 임원이 합심하여 계획 및 실행하였고 많은 회원께서 물심양면으로 협조해 주셔서 2년간 행복하게 지낸 것 같습니다. 물론 아쉬움도 많이 남습니다만, 27대가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