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맑음동두천 12.8℃
기상청 제공

회계전문가들, 올 하반기 경기전망 66…22년 4분기 이후 최하

미‧중 갈등‧글로벌 불확실성‧경기 회복 지연 반영

[이미지=회계사회]
▲ [이미지=회계사회]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회계전문가들이 전망한 올 하반기 경기실사지수가 66으로 상반기 대비 지수가 28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상반기 경기실사 전망은 68로 저조한 결과가 나왔다.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계정책연구원(이사장 최운열)은 27일 이러한 내용의 2024년 하반기 ‘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CPA BSI)’를 발표했다.

 

 

CPA BSI는 1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하면 경기 호전, 100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뜻한다.

 

현황 BSI 하락 요인으로는 미‧중 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경기 회복 지연, 국내 상품소비와 건설경기 부진 등이 꼽혔다.

 

내년 초 BSI 전망에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보편관세 현실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 가능성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전망됐다.

 

앞으로 1년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글로벌 경기 흐름 (31%) ▲지정학적 갈등(러-우크라 전쟁, 중국-대만 갈등 등) (14%) ▲통화정책 방향 및 자금조달 환경 변화(긴축 완화, 자금경색 등) (11%) ▲가계 및 기업 부채 수준 (9%) 등이 지목됐다.

 

산업별 현황 BSI는 조선(150), 금융(104), 자동차(98), 제약‧바이오(96)이었으며, 조선, 금융업 외 대부분 산업이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내년 상반기 산업별 전망 BSI에서는 조선(148), 제약‧바이오(101), 금융(95), 자동차(94) 등으로 나타났다. 조선과 제약‧바이오를 제외한 나머지 산업군은 기준치(100) 아래였다.

 

CPA BSI는 경제‧산업 전반 전문성이 탁월한 파트너급 이상 전업 회계사와 기업체 임원급 휴업 회계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조사한다.

 

이번 조사는 11월 11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됐다.

 

한편, 이번 CPA BSI 21호에는 CPA BSI 조사 결과 외 경제전망에 대한 특별기고문 2편과 미래 산업의 주요 이슈를 다룬 전문가 기고문 2편도 수록됐다.

 

특별기고문은 최훈 회계정책연구원 초빙 연구위원이 ‘내년도 국내외 경제전망과 트럼프 2기 대외 통상정책의 시사점’, 이현철 우리카드(주) 상근감사위원이 ‘자본시장 일류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넘어’를 주제로 내년 경제전망과 대응 방안을 진단했다.

 

CPA BSI 21호의 자세한 내용은 이달 말 회계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 게재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