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12.1℃
기상청 제공

증권로

신풍제약, 최근 5거래일 거래량 최고치 돌파... 주가 +4.16% ↑

※ 이 기사는 조세금융신문과 인공지능기술 개발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작성된 기사입니다.

(조세금융신문=TF로보 기자) 전문치료 의약품 판매 중심의 제약회사인 신풍제약[019170]은 29일 오후 3시 1분 현재 전날보다 4.16% 오른 2만 1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5%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신풍제약은 2019년 매출액 1897억원과 영업이익 2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2%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71.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8%, 하위 15%에 해당된다.

[그래프]신풍제약 연간 실적 추이


신풍제약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7억원으로 2018년 24억원보다 -7억원(-29.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8.6%를 기록했다.

신풍제약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18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7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신풍제약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신풍제약은 최근에 아래와 같이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 05/22 [지분변동공시]장지이 외 8명 -1.72%p 감소, 8.5% 보유
 - 05/22 [지분변동공시]장지이 외 8명 -1.72%p 감소, 8.5% 보유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