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다가올 슈퍼사이클에 대비하고자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한다. [사진출처=삼성SDI]](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311/art_17419119215359_32f485.jpg)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삼성SDI가 향후 다가올 슈퍼사이클(호황기)에 대비하고자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14일 삼성SDI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시설투자 자금 확충을 위한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번 유상증자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진행하며 주식수는 총 1182만1000주, 증자 비율은 16.8%다.
신주 배정은 오는 4월 18일 기준으로 진행하며 5월 22일 확정 발행가액이 결정된다. 이어 5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우리사주조합, 구주주, 일반공모 순으로 청약 과정을 거친 뒤 6월 19일 신주 상장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삼성SDI측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은 미국 GM과의 합작법인 투자, 유럽 헝가리 공장 생산능력 확대, 국내 전고체 배터리 라인 시설투자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또한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중장기 성장 전망과 함께 시설투자에서 양산까지 2~3년이 소요되는 배터리 사업의 특성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중장기 전략에 따라 향후 수요 회복 시점에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장기적인 투자 재원 확보와 안정적인 재무구조 구축을 위해 선제적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며 “아울러 향후 보유자산 활용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을 적극 검토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며 배터리 수요 감소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시장조사기관들은 2025~2030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연평균 20% 수준의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지난해 6월 시장조사기관 BNEF(Bloomberg New Energy Finance)는 ‘2024년 전기차 전망(Electric Vehicle Outlook 2024)’보고서를 통해 전세계 전기차 연간 판매량이 2027년 3000만 대를 넘어서고 2040년에는 7300만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당시 BNEF는 해당 보고서에서 “내연기관차의 판매량은 2017년 이미 정점을 찍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삼성SDI는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차원에서 미국 내 스텔란티스와 GM과의 합작투자(JV) 등 이미 확정된 투자와 함께 유럽 헝가리 공장 시설투자, 전고체 및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등 신기술 개발·양산 투자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삼성SDI의 시설투자 규모는 2019년 1조7000억원대에서 2024년 6조6000억원대로 4배 가량 증가했다. 올해는 일시적인 수요 위축에 따른 투자 효율화로 전년 대비 시설투자 규모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미래 기술 선점과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투자는 지속할 계획이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은 “안정적인 재무구조 기반으로 중장기 성장을 가속화를 위해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며 “기술 경쟁력 강화, 매출·수주 확대, Cost(비용) 혁신을 통해 캐즘을 극복하고 다가올 슈퍼 사이클을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