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17.8℃
  • 맑음강릉 26.5℃
  • 맑음서울 21.5℃
  • 맑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1.9℃
  • 구름많음울산 18.8℃
  • 구름조금광주 20.2℃
  • 맑음부산 20.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19.8℃
  • 구름조금보은 16.4℃
  • 맑음금산 16.1℃
  • 맑음강진군 17.1℃
  • 흐림경주시 18.7℃
  • 맑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인터뷰]윌리엄그랜트앤선즈코리아 김일주 대표

  • 등록 2014.09.30 10:48:06

 

위스키 대세는 싱글몰트 위스키

글렌피딕과 발베니 앞세워 국내 위스키 시장 공략

 

유재철 _ 기자 recon893@tfnews.co.kr

 

 

 

김일주대표.jpg

대세는 대세다. 싱글몰트 위스키 열풍이 불고 있다.

그 중심에 세계 판매 1글렌피딕이 있다.”

국내에 최초로 선보인 싱글몰트 위스키 글렌피딕(Glenfiddich)’을 판매하는 윌리엄그랜트앤선즈코리아(William Grant & Sons Korea)의 김일주 대표는 우리나라의 위스키 소비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실제로 최근 밤문화 접대가 점점 사라지면서
블렌디드 위스키의 소비가 눈에 띄게 줄었다. 반면 클래식 바에서 고급 주류로 인식돼 있는 싱글몰트 위스키는 그 영역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서울에서만 몰트 전용 바(BAR)’50여 곳이 넘을 정도다.


주류 통계에 따르면
2013블렌디드 위스키의 소비는 2012년 대비 12.8%가 줄었지만 싱글몰트 위스키는 오히려 12.1% 늘었다. 김 대표는 국내 위스키 시장에서 3% 남짓인 싱글몰트의 시장 점유율이 앞으로 12%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스코틀랜드 본사에서도 한국시장의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The Balvenie_4001_High (1).jpg

최적의 환경에서 생산되는 글렌피딕’ 


싱글몰트 위스키는 맥아(몰트) 원액이 15% 정도 들어가는 블렌디드 위스키와 다르게 100% 몰트 원액으로 만든다. 그만큼 맥아는 싱글몰트 위스키의 품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글렌피딕이 생산되는 스코틀랜드는 남쪽은 잉글랜드와 동쪽은 북해
, 북서쪽으로는 대서양과 마주한다. 남쪽에서 올라오는 멕시코 난류의 영향으로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은 따뜻한 해양성 기후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야말로 보리의 성장에는 안성맞춤인 곳이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이같은 스코틀랜드의 기후와 환경은 최고 품질의 보리가 경작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조건이라고 설명한 후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먹는 보리와는 품종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계곡을 뜻하는
Glen과 사슴을 뜻하는 fiddich의 합성어인 글렌피딕은 그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청정 지역의 천연수로 만들어진다. 글렌피딕의 증류소가 있는 스페이사이드(Speyside) 지역 더프타운은 위스키를 만들 때 사용하는 로비듀(Robbie Dhu)’라는 청정 자연수의 수원지로서 여기서 나온 천연수는 당화(Mashing)와 병입(Bottling) 과정에도 이용된다.


따라서 윌리엄그랜트앤선즈는 이 인근의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
1,200Acer(150만평)의 땅을 매입해 천연상태로 보존하고 있는 중이다. 이런 최적의 환경에서 생산되기 때문일까. 글렌피딕은 세계 최고의 위스키에만 주어지는 국제 주류 품평회(International Wine & Spirit Competition)’국제 증류주 품평회(International Spirits Challenge)’ 대회에서 가

장 수상 실적이 많은 위스키 브랜드이다.

   

140701 발베니 오크통 수제작.jpg

맛과 향을 결정하는 오크통 

 

싱글몰트 위스키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또 있다. 바로 몰트 위스키를 보관하는 오크통이다. 일반적으로 오크통에 숙성 보관한다고 하면 와인을 떠올리지만 싱글몰트 위스키 역시 같은 방법을 쓴다.

1700년대 초반, 위스키 제조자들이 고율의 세금을 피하기 위해 당시 흔히 마시던 쉐리 와인통에 위스키를 보관했었다. 시간이 지나 판매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보니 호박색의 짙은 향취와 한층 부드러운 술맛 때문에 이때부터 오크통에 담가 숙성했다고 한다.

윌리엄그랜트앤선즈는 위스키의 맛과 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오크의 목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고의 통 제조업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숙성 오크통 역시 최고 품질의 참나무를 사용한다.

 

Glenfiddich_3356_Original.jpg

100% 수작업으로 생산되는 발베니 

 

윌리엄그랜트앤선즈는 글렌피딕 외에도 발베니, 그란츠 등 여러 종류의 위스키를 생산한다. 이 중 몰트위스키 성지인 발베니 증류소에서 생산되는 발베니(The Balvenie)는 달콤한 맛과 향이 특징이다. 발베니는 보리를 발아시킨 후 건조시킬 때 오직 수작업만을 고수한다. ‘플로어 몰팅(Floor Malting)’이라는 전통 방식을 1892년 이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김 대표는 바닥에 발아된 보리를 깔아놓고 장인이 일일이 나무 삽을 사용해 뒤집는 이 방식 때문에 몽키 숄더(Monkey Shoulder)란 말이 생겨났을 정도라고 말했다. 이 작업을 하는 장인들이 항상 어깨가 구부정하게 휘어 있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보리의 재배부터 경작, 몰팅, 증류, 오크통 제작, 숙성, 병입 등 전 과정이 공정별 장인들의 손을 거친다. 말 그대로 수제 싱글몰트 위스키. 발베니 역시 2008SFSC, IWSC에서 2009년엔 ISC, IWSC에서 각각 골드메달을 수상했고 지난 2010IWSC에선 발베니 포트우드 21이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국내에는 발베니 더블우드 12, 싱글배럴 15, 더블우드 17, 포트우드 21, 서티 30년이 정식 수입돼 판매된다.

김 대표는 발베니 더블우드 12년산의 경우 위스키의 마지막 숙성을 쉐리 오크통에서 하는 파격적인 실험을 통해 탄생한 역작이라고 말했다.

 

 윌리엄그랜트앤선즈(William Grant & Sons)

영국 윌리엄그랜트앤선즈(William Grant & Sons)1886년 창립자 윌리엄 그랜트가 몰트 위스키 성지라 불리는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지역에 증류소를 처음 만들고 위스키 메이커 업체 중 현재까지 5대째 가족경영을 유지하고 있는 스코틀랜드 유일의 종합 주류 회사다. 윌리엄그랜트앤선즈는 계곡에서 유래한 최고급 위스키라는 브랜드 철학을 기반으로 120년 넘게 전통적인 제조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김일주대표GM Tasting.jpg
김일주 대표

2013년 윌리엄그랜트앤선즈코리아 대표 2011년 골든블루 대표이사 2009년 골든블루 개발 출시 2007년 수석무역 대표이사 사장 2005년 진로발렌타인스 전국 마케팅·영업 총괄 부사장 2000년 진로발렌타인스 마케팅담당 이사 1996년 윈저 개발 출시 1989년 두산씨그램 초대 발렌타인 브랜드 매니저 1983년 백화양조 입사 1982년 조선대 무역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4선 관록의 진선미 의원 “3高 시대, 민생·국익중심 경제정책 전환 시급”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현재 고물가와 고환율, 고금리 상황을 국내 변수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모든 측면에서 국제 경제 상황과 닿아 있는 문제이며, 따라서 철저하게 국익을 위한 외교・통상・안보 정책을 꾀하지 않으면, 우리 국민들이 아무리 노력한다 해도 그 결실을 향유할 수 없습니다.” 지난 4월10일 제 22대 총선거에서 당선돼 4선 국회의원이 된 ‘경제통’ 진선미 의원이 22일 <조세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총선이 끝나자 정부의 가스요금 인상 움직임을 비롯하여 시장의 생필품과 식품 등 주요 소비재들이 줄줄이 가격인상을 예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4선 의원이 된 진선미 의원은 제21대 국회에서 하반기 기획재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조세와 금융, 환율 등 국가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전반에 대한 시의적절한 문제제기와 해법을 제시, 소속된 더불어민주당에서 국정감사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됐다. 뿐만아니라 국회 예산정책처와 국회 입법조사처 등 국회의 양대 싱크탱크가 선정한 의정활동 우수의원으로 뽑히는 영예를 안았다. 지난해 국정감사 기간 중 개최된 국회 예산정책처 설립 20주년 행사에서 정책활동 우수 국회의원으로 선정돼 상을 받는 자리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