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0.4℃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백화점·대형마트 입점업체, '임대료 인하' 요구 가능해진다

공정위, 유통 '표준 계약서' 개정
임대료 감액 청구권 도입이 핵심
감염병 등 매출액 줄면 요구 가능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실적이 하락할 경우 백화점·대형마트 내 매장영업이 부진한 임차인은 '임대료 인하'를 요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5일 "대규모 유통업체의 매장 임대차 거래 관행을 개선하고, 임차인의 권익을 보호하겠다"며 유통 분야 매장 임대차 표준 거래 계약서를 개정해 이런 내용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 계약서에 포함된 '임대료 인하' 요청 가능 사유로는 입점 업체 매장 위치·면적·시설이 유통업체 측 요구에 따라 변경되고 △매출이 현저하게 감소한 경우, △임대목적물 주변환경이 크게 바뀐 경우, △물가 또는 기타 경제여건 등 부득이한 사유로 매출이 크게 감소한 경우 등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감소도 임대료 인하 요구에 포함될 수 있다. 

 

유통업체는 매장 임차인이 감액 요청을 할 경우 14일 이내에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 만약 임차인이 유통업체가 협의를 개시하지 않거나, 멋대로 중단하면 분쟁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이번 개정으로 매장임차인의 계약 중도해지 위약금은 3개월치 임대료·관리비를 넘을 수 없다. 과다한 위약금 때문에 경영난에 사업을 접고자 하는 임차인이 보다 쉽게 계약을 해지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이밖에 계약을 체결할 때 임대료나 판촉비용 분담, 매장 위치 등 주요 조건의 결정·변경 기준과 절차를 공개하도록 했다. 관리비와 시설사용료의 월평균 예상 비용도 계약하기 전에 임차인에게 서면으로 통보해야 한다. 이는 유통업자가 자의적으로 임대료, 판촉행사 비용 분담 등을 결정 및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정위는 설명했다. 

 

또 유통업자가 매장임차인이 공동 프로모션 행사를 할 때 전체 판촉비용 중 매장임차인의 분담비율을 50%을 초과하면 초과분은 유통업자가 부담하도록 명시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