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29.1℃
  • 흐림강릉 27.3℃
  • 서울 27.8℃
  • 대전 22.9℃
  • 대구 23.6℃
  • 울산 23.2℃
  • 광주 24.1℃
  • 부산 23.1℃
  • 흐림고창 25.2℃
  • 흐림제주 28.2℃
  • 흐림강화 23.9℃
  • 흐림보은 22.7℃
  • 흐림금산 22.3℃
  • 흐림강진군 24.6℃
  • 흐림경주시 23.8℃
  • 흐림거제 23.5℃
기상청 제공

[방민주 변호사의 부동산 금융] 양도소득세의 양도의 개념

  • 등록 2014.06.19 10:45:28
(조세금융신문) 양도소득세는 그 의미상 양도가 일어났을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그런데 소득세법 제88조는 양도를 민법상의 소유권 이전이 아닌 ‘자산이 유상으로 사실상 이전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고, 세법 특유의 실질과세원칙에 의해 양도소득세의 ‘양도’는 소유권 이전의 의미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경제적 실질은 동일하지만 그 법적 형식이 다른 경우를 비교해 보자. 가령, 양도담보는 금전을 차용하면서 물건을 담보 목적으로 양도하는 것이고, 매도담보는 금전을 차용하면서 일단 물건의 소유권을 이전한 후 변제와 더불어 다시 환매하는 것이다. 양자는 채무자가 변제에 성공했을 때와 실패했을 때의 결과가 완전히 동일한데, 전자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151조에 의해 양도로 보지 않는다. 그렇다면 후자는 어떨까? 미국에는 매도담보를 양도로 보지 않고 이자소득을 과세한 판례가 있다고 한다.

그 밖에도 여러 유사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파생상품의 발달로 생각할 수 있는 대부분의 법적 구조의 경제적 실질을 흉내낼 수 있게 된 이상, 위와 같은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슬람 국가들이 이자를 금지하는 이슬람 율법 때문에 편법을 통하여 이자 수취와 동일한 경제적 실질을 구성하는 금융상품을 만든 것이 가까운 예이다. 우리 대법원도 씨티은행의 엔화스왑예금 사건에서 납세자의 손을 들어주기도 했다.

부동산 금융에서 이용되는 Sale and Leaseback 역시 같은 관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Sale and Leaseback 은 부동산을 금융기관에 양도하되, 양도인이 양수인으로부터 일정한 임대료를 지급하면서 부동산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추후 양도인에게 같은 가격으로 환매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 주는 것이다. 이는 어찌 보면 금융기관으로의 부동산 양도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관점에서 보면 담보부 차입과 매우 유사한 경제적 실질을 가진다. 

이보다 한단계 발전한 형태인 Trust and Leaseback 방식도 마찬가지이다. 이 방식에서는 부동산 소유권이 이전되지 않고 단지 신탁회사가 부동산의 관리처분권만을 보유하는데, 양도인이 이자를 체납하는 등 원활한 변제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부동산을 매각하여 금융기관이 대출금에 충당할 수 있다. 역시 경제적 실질은 Sale and Leaseback, 담보부 차입과 유사하다.

위와 같은 경우들이 세법상 양도인지 아닌지를 확답하기는 어렵다고 보인다. 아직 우리 법원의 판례 중에서는 명확한 선례라고 할 만한 사안이 없어 보이고, 미국 판례들의 경우도 특정 입장에 서 있다고 보기에는 불분명한 점들이 많다. 다양한 금융상품들이 발달하게 된 배경은 절세 효과가 목적인 경우가 많은데, 위와 같은 조세법적인 의문사항을 간과할 경우 절세는 고사하고 엄청난 가산세가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양극화’ 못막은 칸막이 행정으로 ‘저출생’ 난제를 풀겠다고?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정부가 저출생을 ‘국가비상사태’로 규정하고 가칭 ‘저출생대응기획부’를 부총리급 부처로 새로 만든다는 구상을 밝혔다는 소식을 듣고 생각이 많아진다. 교육·노동·복지는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행정부처와 무관치 않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면 ‘부처간 칸막이’부터 부숴야 한다. 부처끼리 서로 협력해도 모자를 판에 부처 신설로 풀겠다니. 공동체의 난제를 풀 의지도 능력도 없다는 걸 솔직히 인정한 셈이다. 그래서 더 착잡한 것이다. 한편으로 첫단추가 잘못 끼워진 나라 행정의 실타래를 풀 엄두가 나지 않으니 오죽했으면 저런 방향을 잡았을까 하는 안타까움도 없지 않다. 하지만 수십조원을 투입하고도 저출생 가속화를 막지못한 지난 정부들 아닌가. 부처신설 발상을 접하고 정책실패의 ‘기시감’부터 드는 것은 비단 기자만이 아닐 것이다. 부처 신설보다 “다른 정부 부처와 협력을 잘 한 공무원들이 더 높은 인사고과를 받도록 하면 된다”는 ‘뿌리규칙(Ground rules)’을 공고히 해야 한다. 물론 조선시대이래 이어져온 ‘이호예병형공’의 카르텔을 깨는 게 쉽겠는가. 하지만 그걸 깬 효과가 나와야 실제 출생률이 바닥을 찍고 반등할 수 있다. 그게 핵심이다.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