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조금동두천 30.1℃
  • 맑음강릉 28.9℃
  • 구름조금서울 31.3℃
  • 구름많음대전 28.3℃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6.4℃
  • 구름많음광주 29.1℃
  • 구름많음부산 28.0℃
  • 구름많음고창 27.6℃
  • 구름많음제주 25.7℃
  • 구름많음강화 27.7℃
  • 구름많음보은 26.5℃
  • 흐림금산 27.3℃
  • 구름많음강진군 26.1℃
  • 흐림경주시 27.5℃
  • 흐림거제 24.9℃
기상청 제공

‘모르면 손해’ 종합소득세 신고, 이건 꼭 알고 하자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세법 개정 사항은 누락하면 고스란히 자기 손해가 되므로 최소한 무엇이 개정됐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개정된 세법 중 자신에게 해당하는 내용이 있다면, 꼭 참고해 신고내용에 반영해야 추가손실이 없다. 


업무용 승용자동차 관련 내용 특례의 경우 이번 신고부터 2015년 귀속 기준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업무용 승용자동차 관련 내용 명세서를 제출해야 한다(소득세법 제33조의2). 2017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부터는 복식부기 의무자로 적용범위가 늘어날 예정이다. 

소득세 추계신고·결정시 소득상한 배율이 2.4배에서 2.6배로 상향조정됐다(소득령 제143조 제3항). 복식부기의무자의 경우도 3.0배에서 3.2배로 늘어났다. 

현금영수증 의무발급 업종에 가구소매업, 전기용품 및 조명장치소매업, 의료용기구소매업, 페인트·유리 및 기타 건설자재 소매업, 안경소매업 추가됐다(소득령 별표 3의3). 적용은 2016년 7월 1일 이후 거래분부터다.

사행산업 당첨금 등 과세 최저한이 조정됐다(소득세법 제84조). 경마환급금 등의 경우 환급금이 개별 투표당 10만원 이하인 경우가 과세 최저한 요건에 추가됐으며, 슬롯머신 등의 당첨금품의 과세최저한 금액도 건별 500만원 미만에서 200만원 이하로 바뀌었다. 

어업소득·농가부업소득 비과세 한도가 연 2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확대됐다(소득령 제9조).

중소기업 설비투자 가속상각 특례 적용기한이 2014년 10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연장됐다(소득령 제63조).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고액기부금액 기준이 3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하향조정되고, 고액기부금 세액공제율은 25%에서 30%로 늘었다(소득세법 제59조의4 제4항).

중소·벤처기업 핵심인력의 장기재직 유도를 위해 핵심인력성과보상금(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소득세 50%를 감면받을 수 있다(조특법 제29조의6 신설).

청년 등의 중소기업 취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감면율이 50%에서 70%로 늘었다(조특법 제30조).

중소기업의 우리사주조합을 활성화하기 위해 감면율이 75%에서 100%로 늘었다(조특법 제88조의4).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과세특례가 신설됐다(조특법 제91조의18).

엔젤투자 소득공제 대상으로 연구개발 투자액 연간 3000만원, 지식기반서비스업은 2000만원 이상인 창업 3년 이내 중소기업이 추가됐다(조특령 제14조 제2항).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