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신한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가 최근 해킹 공격을 받아 일부 은행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지연됐다.
대규모 시스템 마비나 금전적인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들 세 은행은 지난 14일에서 17일 사이 연휴 기간에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 일부 은행은 온라인 금융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장애를 겪었다.
디도스는 하나의 표적 시스템을 대상으로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용량 이상의 정보를 한꺼번에 보내 대규모 트래픽을 일으켜 시스템 마비를 유발하는 해킹 방식이다.
카카오뱅크는 17일 오전 10시10분부터 약 40분간 디도스 공격을 받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속이 느려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일시적 지연 외 다른 피해는 없었다는 게 카카오 뱅크 측 설명이다.
신한은행은 14일, 케이뱅크는 17일 디도스 공격 표적이 됐다. 다만 두 은행 모두 사전 차단 프로그램을 가동해 지연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고 이외 별다른 피해도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디도스 공격은 2017년 6월 국내 은행권을 공격한 국제 해커 집단 ‘아르마다 콜렉티브’의 소행인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해당 집단은 국내 주요 은행과 금융 기관 대상 디도스 공격 협박 서한을 보내고, 실제 공격을 했지만 큰 피해를 주지는 못했다. 이는 2013년 금융기관과 방송사 등에 피해를 준 대규모 디도스 공격을 보고 주요 은행들이 대응 시스템을 미리 구비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국내 시중은행 관계자는 “세 은행은 금융당국과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대응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안다”며 “2013년 이후 금융사들이 디도스 공격에 신속 대응할 방안을 마련했기 때문에 별다른 피해가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