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9.3℃
기상청 제공

SKT, 2Q 영업익 18% 감소…요금할인에 발목

미디어 사업은 성장세…“체질개선으로 종합 ICT 기업 도약”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SK텔레콤이 요금할인 확대에 발목이 잡히며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이어갔다.

 

SK텔레콤은 새로운 회계기준(IFRS-1115호)을 적용한 결과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4조1543억원, 영업이익 34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18.0% 감소했다고 27일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에 따른 지분법 이익(8927억원) 영향으로 43.7% 증가한 9143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이전 회계기준을 적용할 경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한 4조1719억원, 영업이익은 16.7% 감소한 3527억원으로 나타났다. 새 회계기준 적용으로 매출은 176억원, 영업이익은 58억원이 감소한 셈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미디어 사업 매출 증가, 11번가 실적 개선 등 자회사는 지속 성장했으나 회계기준 변경 및 이동통신사업 수익 감소 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동통신사업 수익은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 및 할인율 상승, 취약계층 요금 감면, 서비스 장애 보상금액 지급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줄어든 2조4987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가입자당평균매출(ARPU) 역시 3만229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했다.

 

하지만 최적 요금제 추천, 멤버십 개편 등의 영향으로 고객 만족도를 대변하는 지표인 해지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1.2%를 기록했다.

 

미디어 사업은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IPTV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한 306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가입자 확대와 유료 콘텐츠 이용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모바일 IPTV ‘옥수수’는 지난달 말 기준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22.1% 늘어난 914만명, 월 순방문자 수는 23.2% 증가한 626만명에 달했다.

 

적자에 허덕여온 커머스 플랫폼 11번가는 2분기 직접 손실(39억원)이 손익분기점에 근접하는 등 수익성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힘입어 11번가를 운영하는 자회사 SK플래닛의 영업손실은 3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0억원 줄었다.

 

이밖에도 SK텔레콤의 2분기 마케팅비용은 이전 회계기준으로 701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8.6% 감소했다.

 

SK텔레콤은 하반기 고객 가치를 향상한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해서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지난 5월 인수한 보안회사 ADT캡스를 AI, IoT,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보안사업자로 키워낸다는 목표를 세웠다.

 

유영상 SK텔레콤 코퍼레이트센터장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통신업의 체질을 바꾸고 종합 ICT 기업으로 도약해 근본적인 사업 구조를 혁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