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강릉 4.2℃
  • 박무서울 6.2℃
기상청 제공

작년 집값 상승률 1위는? ‘대전 유성구’ 1년간 16.1% 올라

전세가 상승률 1위는 ‘경기 과천’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지난해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이 대전 유성구로 조사됐다. 2018년 같은 기간에 비해 3.3㎡당 1281만원, 16.10%나 상승한 것.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현황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1월 대전 유성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1103만원 수준이었지만, 12월에는 1281만원으로 16.10%나 상승해 2019년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했다.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두 번째로 높은 곳은 대전 중구다. 지난해 1월 대전 중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825만원이었지만, 12월에는 953만원으로 1년새 15.56% 상승했다.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인 곳은 서울 광진구로 나타났다. 2019년 1월 광진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3220만원이었지만 12월에는 3675만원으로 상승해 지난해 아파트가격이 14.13%나 상승해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외에도 대전 서구가 14.06%, 서울 송파구 12.62%, 서울 금천구가 12.19%, 경기 과천 11.34%의 상승률을 보였고, 부산 수영구는 조정대상지역이 해제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급등해 11.19%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렇자 주택 매수우위지수도 급등했다. 지난해 1월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29.8 수준이었지만, 12월에는 70.0까지 급등했으며 특히, 서울의 경우 같은 기간 매수우위지수가 50.0에서 122.8까지 치솟아 올랐다.

 

한편 지난해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던 지역은 ‘경기 과천’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월 경기 과천의 3.3㎡당 아파트 평균전세가격은 2471만원 수준이었지만, 12월에는 2711만원으로 9.73%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정부가 부동산 규제로 시장을 잡으려 하고 있지만, 대책 이후에도 아파트 매매가격이 꺾이지 않자 아파트 매수심리가 높아지면서 가격 상승이 이뤄지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