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사업 및 글로벌무역사업, 컨설팅사업 등 영위하는 기업인 DB[012030]은 17일 오전 9시 14분 현재 전날보다 8.61% 오른 137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DB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DB의 2023년 매출액은 4586억으로 전년대비 14.3%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370억으로 전년대비 56.8%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9%, 상위 2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DB 연간 실적 추이 DB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4억원으로 2022년 5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0%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DB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63억원, 54억원, 54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DB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DB은 최근에 아래와
위생용지 제조업체인 모나리자[012690]는 17일 오전 9시 8분 현재 전날보다 6.15% 오른 302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모나리자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모나리자는 2023년 매출액 1298억원과 영업이익 6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123.8%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1%, 상위 12%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7.4%(88억 9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모나리자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모나리자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5억원으로 2022년 6억원보다 19억원(316.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6%를 기록했다. 모나리자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6억원, 6억원, 25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LCD 제조용 장비 생산업체인 디에스케이[109740]는 14일 오후 3시 3분 현재 전날보다 5.32% 오른 41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5.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디에스케이의 2023년 매출액은 715억으로 전년대비 48.2%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97억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가 지속됐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8%, 상위 29%에 해당된다. [그래프]디에스케이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디에스케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억원으로 2022년 2억원보다 4억원(2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3%를 기록했다. 디에스케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5억원, 2억원, 6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디에스케이 법인세 납부 추이
제조 및 도소매 등 의류사업 영위업체인 형지I&C[011080]은 14일 오후 2시 37분 현재 전날보다 18.32% 오른 12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5.3%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형지I&C의 2023년 매출액은 653억으로 전년대비 -7.3%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6억으로 전년대비 -72.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하위 26%에 해당된다. [그래프]형지I&C 연간 실적 추이 형지I&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7억원(7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0.8%를 기록했다. 형지I&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1억원, 8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형지I&C 법인세 납부 추이
글리콜에테르 생산 등 정밀화학 제조업체인 한농화성[011500]은 14일 오후 1시 24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0.4%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3.48% 오른 1만 81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농화성의 2023년 매출액은 2124억으로 전년대비 -11.3%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24억으로 적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3%, 하위 9%에 해당된다. [그래프]한농화성 연간 실적 추이 한농화성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2년 7억원보다 -5억원(-71.4%)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6%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한농화성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3억원, 7억원, 2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한농화성 법인세 납부 추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인 에코캡[128540]은 14일 오후 1시 10분 현재 전날보다 13.72% 오른 1774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에코캡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에코캡은 2023년 매출액 1359억원과 영업이익 4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1.7%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0%, 상위 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에코캡 연간 실적 추이 에코캡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9억원으로 2022년 34억원보다 -15억원(-44.1%)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8.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4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에코캡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9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에코캡 법인세 납부 추이
교촌치킨 브랜드를 통한 치킨 가맹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인 교촌에프앤비[339770]는 14일 오후 12시 58분 현재 전날보다 5.49% 오른 59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교촌에프앤비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교촌에프앤비의 2023년 매출액은 4450억으로 전년대비 -14.0%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248억으로 전년대비 181.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0%, 상위 7%에 해당된다. [그래프]교촌에프앤비 연간 실적 추이 교촌에프앤비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8억원으로 2022년 16억원보다 32억원(2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7.3%를 기록했다. 교촌에프앤비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8억원으로 증가했다. [표]교촌에프앤비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17일 장지혜 DS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교촌에프앤비에 대해 "4Q24Re, 국내외 프랜차이즈 성장에도 일회성 비용 증가로
베스띠벨리, SI 등을 보유한 의류 생산 및 판매업체인 신원[009270]은 14일 오후 12시 54분 현재 전날보다 11.4% 오른 1466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신원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신원은 2023년 매출액 8345억원과 영업이익 23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6.2%, 영업이익은 -29.8%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16%, 하위 34%에 해당된다. [그래프]신원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신원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2억원으로 2022년 79억원보다 -37억원(-46.8%)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1.2%를 기록했다. 신원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4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신원 법인세 납부 추이
통일그룹 계열의 종합석재업체인 일신석재[007110]는 14일 오후 12시 54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0.5%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4.04% 오른 20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일신석재의 2023년 매출액은 1012억으로 전년대비 -26.5%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46억으로 전년대비 18.2%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7%, 상위 40%에 해당된다. [그래프]일신석재 연간 실적 추이 일신석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억원으로 2022년 5억원보다 6억원(12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9.3%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3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일신석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억원, 5억원, 11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일신석재 법인세 납부 추이
반도체 검사장비 및 검사보드 전문 제조기업인 디아이[003160]는 14일 오후 12시 49분 현재 전날보다 8.9% 오른 1만 29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디아이의 2023년 매출액은 2145억으로 전년대비 -7.1%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61억으로 전년대비 -44.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1%, 하위 27%에 해당된다. [그래프]디아이 연간 실적 추이 디아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5억원으로 2022년 0원보다 25억원(1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55.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5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디아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25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디아이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디아이는 최근에 아래와 같이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 03/05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계약 (DDR5용 차세대 BURN IN TESTER 및 차세대 BURN I
제네릭 및 신규 천연물 의약품 개발 제약업체인 알리코제약[260660]은 14일 오전 10시 52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3.9%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8.33% 오른 4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알리코제약의 2023년 매출액은 1872억으로 전년대비 11.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1억으로 전년대비 -68.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0%, 하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알리코제약 연간 실적 추이 알리코제약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알리코제약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7억원, 4억원, 4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알리코제약 법인세 납부 추이
2차전지 생산설비 전문기업인 씨아이에스[222080]는 14일 오전 10시 9분 현재 전날보다 9.2% 오른 7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1.5%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씨아이에스의 2023년 매출액은 3102억으로 전년대비 94.6%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389억으로 전년대비 398.6%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 상위 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94.6%(1508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씨아이에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씨아이에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4억원으로 2022년 41억원보다 33억원(80.5%)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6%를 기록했다. 씨아이에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0억원, 41억원, 74억원으로 매년 상승
가전, 자동차 분야의 철강 제조 및 유통 기업인 신스틸[162300]은 14일 오전 9시 49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4.6%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7.95% 오른 2715원에 거래되고 있다. 신스틸의 2023년 매출액은 3238억으로 전년대비 -15.0%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30억으로 전년대비 -17.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7%, 하위 49%에 해당된다. [그래프]신스틸 연간 실적 추이 신스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5억원으로 2022년 28억원보다 -3억원(-10.7%)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8.1%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신스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7억원, 28억원, 25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신스틸 법인세 납부 추이
강관 제조 기업인 하이스틸[071090]은 14일 오전 9시 5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66.5%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4.43% 오른 4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이스틸의 2023년 매출액은 2567억으로 전년대비 -18.9%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34억으로 전년대비 -79.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12%, 하위 15%에 해당된다. [그래프]하이스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하이스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28억원보다 -20억원(-71.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8.1%를 기록했다. 하이스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8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하이스틸 법인세 납부 추이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인 알피바이오[314140]는 14일 오전 9시 4분 현재 전날보다 26.59% 오른 6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606.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알피바이오는 2023년 매출액 1510억원과 영업이익 6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9.4%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1.4%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4%, 하위 42%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9.4%(129억 4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알피바이오 연간 실적 추이 알피바이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2년 14억원보다 -12억원(-85.7%)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5%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3.5%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알피바이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종합 골프 레저 지주회사인 골프존뉴딘홀딩스[121440]는 14일 오전 9시 3분 현재 전날보다 15.82% 오른 4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74.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골프존뉴딘홀딩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2.6% 줄어든 4271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43.8% 줄어든 531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0%, 하위 37%에 해당된다. [그래프]골프존뉴딘홀딩스 연간 실적 추이 골프존뉴딘홀딩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0억원으로 2022년 75억원보다 5억원(6.7%)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5%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골프존뉴딘홀딩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80억원으로 증가했다. [표]골프존뉴딘홀딩스 법인세 납부 추이
공작기계, 산업용 로봇 및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스맥[099440]은 13일 오후 2시 54분 현재 전날보다 -5.14% 하락한 323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377.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스맥의 2023년 매출액은 1766억으로 전년대비 10.8%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220억으로 전년대비 87.6%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1%, 상위 1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스맥 연간 실적 추이 스맥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8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4.6%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스맥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억원, 8억원, 8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스맥 법인세 납부 추이
건자재 전문기업인 벽산[007210]은 13일 오후 1시 7분 현재 전날보다 -4.95% 하락한 21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3.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벽산의 2023년 매출액은 6207억으로 전년대비 19.4%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448억으로 전년대비 137.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3%, 상위 1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벽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벽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8억원으로 2022년 38억원보다 40억원(105.3%)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7.6%를 기록했다. 벽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78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표]벽산 법인세 납부 추이
반도체 세정/코팅 전문기업인 코미코[183300]는 13일 오후 12시 58분 현재 전날보다 14.13% 오른 5만 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코미코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코미코의 2023년 매출액은 3073억으로 전년대비 6.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30억으로 전년대비 -40.4%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8%, 하위 38%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코미코 연간 실적 추이 코미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9억원으로 2022년 111억원보다 -42억원(-37.8%)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3.2%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코미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37억원, 111억원, 69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코미코 법인세 납부 추이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더존비즈온[012510]은 13일 오후 12시 52분 현재 전날보다 -7.54% 하락한 6만 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1.5%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더존비즈온의 2023년 매출액은 3536억으로 전년대비 16.2%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691억으로 전년대비 51.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6%, 상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10.9%(348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더존비즈온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더존비즈온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1억원으로 2022년 82억원보다 29억원(35.4%)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4%를 기록했다. 더존비즈온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