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국내 은행들의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높아 부동산 경기에 따른 테일리스크(꼬리위험, 확률은 낮지만 발생 시 손실이 매우 큰 위험) 우려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무디스와 한국신용평가가 공동 주최한 미디어 브리핑에서 이같은 의견이 나왔다.
먼저 브리핑에서는 한국 경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국제 에너지 및 식량 가격 충격, 기업 및 정부 부채, 고령화 등이 언급됐다.
특히 무디스 측은 내년에 은행권에서 자산건전성 약화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며, 부동산 익스포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되짚었다.
손정민 무디스 연구원은 “급격한 자산건전성 지표 악화를 예상하고 있진 않지만 은행들의 부동산 익스포저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테일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택담보대출, 부동산 및 건설업 대출을 합산해 부동산 익스포저를 산출할 경우 은행 대출의 40% 중반 정도 수준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낮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나 정부의 강한 총부채월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고려할 때 직접적인 리스크 수준은 제한적이지만, 부동산 경기 약세가 장기화 한다거나 지금의 (주택가격) 회복세가 반전된다면 테일 리스크의 현실화 우려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금리인 현 상황에 주택 가격 안정화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점도 문제다.
이에 대해 손 연구원은 “지난 2004년이나 2009년의 주택 가격 하락기와는 달리 현재는 금리 상승기에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며 “현재 금리 상승기에는 시장 리스크가 좀 더 크다. 지난 주택가격 하락기에는 금리 인하를 통해 주택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면 현재 금리 상승기에는 그러한 옵션이 제한적이므로 리스크가 좀 더 크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건설업에 대한 전망 발표도 이어졌다.
김용건 한신평 총괄본부장은 “중견급 이하 건설사는 정부 지원이나 자산 담보 없이도 회사채 발행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고 있고 10% 내외의 고금리도 부담 요인”이라며 “건설업에 대한 금융업권의 회피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유동성 대응 부담이 상위 건설사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