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3 (화)

  • 맑음동두천 13.8℃
  • 구름조금강릉 16.5℃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3.9℃
  • 구름조금대구 16.1℃
  • 구름많음울산 17.1℃
  • 맑음광주 15.7℃
  • 맑음부산 19.3℃
  • 맑음고창 13.4℃
  • 흐림제주 21.3℃
  • 구름조금강화 14.3℃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15.5℃
  • 구름많음경주시 16.4℃
  • 흐림거제 16.9℃
기상청 제공

[르포] 강서세무서, '납세자의 날' 이색풍경…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를 한눈에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의 걸작 ‘인왕제색도’를 서울 강서세무서에서 만나볼 수 있다.

 

3일 ‘제57회 납세자의 날’을 맞아 모범납세자와 세정협조자에 대한 표창장 수여가 진행된 서울 강서세무서를 찾았다.

 

오전 9시 40분쯤 도착하니 표창장 수여 대상자들과 민원 봉사실을 방문한 민원인들, 세무서 관계자들로 세무서가 붐볐다.

 

이날 수상대에 오른 최기영 강서세무서장은 모범납세자와 세정협조자에 표창장을 수여하면서,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선진 납세 문화 정착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이들을 치하했다.

 

그러면서 최 세무서장은 강서구 역사 한 폭에 조선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화가 겸재 정선의 인생이 담겨있다고 소개했다.

 

 

겸재 정선은 1740년부터 1745년까지 서울 양천현령, 요즘으로 생각하면 강서구청장으로 있으면서 ‘양천팔경첩’, ‘경고명승첩’ 등 명작을 그렸다. 그의 발자취를 숭고히 여겨 2009년에는 강서구 가양동에 겸재정선미술관이 건립되기도 했다.

 

문득 겸재 정선이 남긴 산수(山水)의 위용이 그리워지던 찰나 강서세무서 1층에서 그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는 최 세무서장의 설명이 뒤따랐다.

 

납세자의 날 기념식을 마치고 최 세무서장의 설명을 떠올리며 1층 겸재 정선의 작품들이 있는 공간을 찾았다.

 

 

인왕제색도가 눈에 띄었다. 인왕제색이란 ‘인왕산의 비 갠 모습’이란 뜻이다. 의미 그대로 작품에선 비 갠 뒤 안개가 피어오른 인왕산의 경치가 자유분방한 필치로 펼쳐져 있었다. 전경에는 자욱한 안개가 품은 듯 감싼 숲과 집이 있고 먼 배경으로 치마바위, 범바위 등이 무게감을 드러냈다.

 

천천히 걸음을 옮기며 겸재 정선의 양천팔경첩 중 하나인 개화사도, 금강산에서 본 장면을 화폭에 풀어낸 금강전도, 한강 전경을 그린 양화진도를 눈에 담았다. 푸르른 정취가 흘렀다가 이내 눈 덮여 고즈넉함이 내려앉은 산수의 사계절이 영화처럼 스쳤다. 마음이 가라앉았다. 대자연 앞에서 인간의 시간과 일생이 찰나처럼 지나쳐 갔다.

 

강서세무서 측은 1층 후문 쪽에 마련된 이 공간은 최 세무서장의 적극적인 제안으로 설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무서를 찾는 민원인들은 물론 늘 이곳을 지나는 세무서 직원들에게 정서적인 편안함을 선물하고 세무서의 품격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강서세무서를 찾게 된다면, 잠시 걸음을 멈추고 1층에 마련된 겸재 정선의 작품들 앞에 머물러 보는 건 어떨까. 수려하게 펼쳐진 산수풍경에서 일상의 고단함을 씻어내길 바라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조금만필] '낡은 대못' 뽑겠다는 尹, 골프장 중과제도는 왜 폐기 안 하나
(조세금융신문=박완규 논설위원) 이른바 ‘부의 상징’으로 여겨 별장에 부과하던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 제도가 50년만에 폐지됐다. 별장에 대한 중과 제도는 소수 부유층의 사치성 소비를 막아 사회 안정과 질서유지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로 설계됐다. 이후 고도성장과 더불어 국민소득이 늘고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별장은 더 이상 소수 부유층의 사치재가 아니라 중산층이라면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세컨드 하우스’로 성격이 바뀌었다. 이런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별장에 대한 중과 제도도 반세기만에 폐기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당시 정부가 같은 목적으로 만든 중과 제도가 또 있다. 바로 회원제 골프장에 대한 중과세 그것이다. 회원제 골프장이 취득·보유하는 부동산에 대해선 취득세·재산세가 중과되는데, 세율은 각각 12%, 4%에 달한다. 매년 재산세가 부과된다는 점에서 골프장 운영 이후 몇 년 만에 투자 원금이 잠식될 정도로 상당히 무거운 세금인데, 이에 더해 이용객의 입장에 대해 개별소비세·농어촌특별세·교육세·부가가치세까지 물어야한다. 역시 군사정부 시절 골프가 소수 부유층의 사치라는 인식 하에 만든 제도인데, 지금도 골프가 소수 부유층만의 사치 행위일까. 대한골프협회가 올 1
[인터뷰] 팔꿈치 절단 딛고 '요식업계 큰손 등극'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무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몸에 좋다는 여러 보양식을 찾게 된다. 장어도 그중 하나다. 부천에서 꽤 많은 손님이 찾는 ‘백세장어마을’은 상동 웅진플레이도시 워터파크 앞에 자리하고 있다. 평일 점심에도 꽤 많은 손님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 사업가 윤명환 대표 이야기 백세장어마을 윤명환 대표는 현재 7년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 창업자가 5년간 운영한 것을 이어받았으니 합치면 12년째다. 이곳뿐 아니다. 같은 웅진플레이도시 내에 자리한 중식집 ‘The 차이나’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인천광역시 삼산동에는 고깃집 ‘백세미소가’를 창업해 현재 아들이 운영을 맡고 있다. 요식업계에 발을 디딘 지는 벌써 16년째다. “요식업 창업을 하는 사람들의 70%는 망하고, 20%는 밥벌이 정도 하고, 10%는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그런 걸 보면 윤 대표는 요식업계에서 나름 성공한 CEO다. 처음 요식업을 시작한 것은 한창 한일월드컵으로 ‘대한민국~’을 외치던 2002년이다. 윤 대표는 당시 매우 절박한 마음으로 요식업계에 첫발을 내밀었다. 이전에 큰돈을 모아 투자했던 의료사업에서 실패한 이후다. 처음에는 직장인으로 출발했다. 인천전문대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