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구름많음강릉 30.0℃
  • 구름많음서울 30.4℃
  • 구름많음대전 31.2℃
  • 구름조금대구 35.4℃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2.6℃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8℃
  • 맑음제주 31.7℃
  • 구름많음강화 28.8℃
  • 맑음보은 31.0℃
  • 맑음금산 32.0℃
  • 맑음강진군 33.2℃
  • 맑음경주시 35.2℃
  • 맑음거제 30.1℃
기상청 제공

‘생성형 AI 거버넌스 진단 및 해법’ 광장‧FPF, 공동 세미나 종료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법무법인 광장(대표변호사 김상곤)이 지난 23일 글로벌 비영리 단체인 FPF(Future of Privacy Forum)와 더불어 ‘생성형 AI에 대한 국내외 규제(Regulatory) 프레임워크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최근 챗GPT(Chat GPT)를 필두로 생성형 AI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APAC 지역(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EU, 미국 등 전 세계 AI 법적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추세와 산업계 동향을 심도 깊게 분석했다.

 

축사는 광장 이형근 대표변호사(연수원 23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도현 차관, 환영사는 FPF의 CEO인 줄스 폴로넷스키(Jules Polonetsky)가 맡았다.

 

강도현 차관은 앞선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AI 서울 정상회의 서울선언 및 의향서’, ‘서울 기업 서약’에 관한 내용을 간단히 공유했다.

 

첫 번째 기조연설로, IBM의 AI 윤리위원회 의장인 크리스티나 몽고메리(Christina Montgomery)가 신뢰성 있는 AI를 구현하기 위한 AI 거버넌스 및 개방형 혁신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기조연설에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최장혁 부위원장이 신뢰할 수 있는 생성형 AI 성장 여건 조성을 위한 위원회의 핵심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업계와 국민 권리 보호 간 균형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전했다.

 

 

첫 번째 발제에서는 광장 고환경 변호사(연수원 31기)이 ‘한국의 최근 AI거버넌스 및 규제 현황’을 주제 발표했다.

 

고 변호사는 개인정보, 금융 등 AI 관련 주요 부분별 국내 규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법률(안) 등 국내 입법 현황도 면밀히 검토한 후 AI가 성장‧혁신의 동력이 될 수 있도록 민간의 창의성을 보장하는 실용적인 규제 프레임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FPF의 APAC 지역 대표인 조쉬 리 콕 통(Josh Lee Kok Thong)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생성형 AI 시스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탐색’을 발표하며, 생성형 AI가 가져올 수 있는 문제 상황을 검토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APAC 국가의 규제 프레임워크 및 그러한 규제와 개인정보 보호법 간의 관계를 심도 있게 검토한 후 AI 거버넌스에 관한 정부와 산업계의 best practice를 제시했다.

 

토론은 광장 박광배 변호사와 FPF 조쉬 리 콕 통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패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양청삼 국장,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김범수 교수, 네이버 이진규 CPO, SK텔레콤 김호근 법무담당, 구글 아시아-태평양 지역 무역·경쟁력·AI 정책 부문 유니스 황(Eunice Huang) 부문장, 메타 멜린다 클레이바우(Melinda Claybaugh) 개인정보보호 정책 책임자 등이 참여했다.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대한민국 AI 안전 연구소의 연내 출범을 포함, ’서울 선언’을 실현하고 AI안전 확보와 지속가능한 AI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양청삼 국장은 개인정보호호위원회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인공지능이 갖는 불확실성임을 언급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호근 법무담당은 경성 규범이 아닌 연성 규범에 따라 AI 관련 규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AI 학습 데이터 구축을 위한 저작권 관련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해소할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진규 CPO는 AI 개발, 적용, 이용 등 AI 활용의 전 국면에서 다양한 주체가 연관되어 있기에 AI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등의 책임소재를 정하기 어려운 점과 생성형 AI에 의하여 부정확한 정보가 생성되었을 경우 개인정보 정정권 행사를 통한 정정 등 전통적인 개인의 권리 구제 방법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점 등 생성형 AI의 활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들을 지적했다.

 

김범수 교수는 딥페이크 등 AI관련 용어들의 통일성 있는 사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한편, AI 에코 시스템 등 안전한 AI 활용을 위한 거버넌스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멜린다 클레이바우는 각국에서 AI 규제안을 독자적으로 확립하는 것을 경계해야 하며, 국제적 논의를 충분히 거친 후 규제를 구체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유니스 황은 EU 및 미국의 AI 규제를 언급하며 생성형 AI 등 급변하는 AI에 대한 대응 방안들을 논의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저출생 칼럼] ‘노동’에 대한 무례함이 저출생 불러…빠른 성장이 놓친 노동, 사람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대한민국이 지구촌 전체에서 ‘초격차’로 앞선 저출생 패권국이 된 것은 주로 인간 노동에 대한 무례한 태도 때문이다. 경제학적 생산 3요소인 토지, 노동, 자본 중 유독 노동에 대해 무례했다. 독보적 저출생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한국은 중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 저출생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저출생 극복책에 부심하고 있다. 국토균형개발과 일자리 지원,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금융・세금 지원 등 전방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그간 일련의 정책들의 빈도와 강도가 집중되지 못한 점 때문에 수백조의 저출생 예산에도 출생률은 악화일로를 걸어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나무만 본 분석이다. 숲을 보면 더 큰 문제가 뚜렷이 실제를 드러낸다. 최근 건설 대기업 부영그룹이 자녀를 낳은 임직원에게 축하금으로 1억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돈에 대해 전액 비과세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정부는 차제에 근로자 본인이나 배우자가 자녀 출산 2년 이내에 회사로부터 지급받는 급여에 대해 전액 비과세 내용을 2024년 세법개정안에 포함시켰다. 혼인신고를 한 부부에게 최대 100만 원을 세액공제하는 '결혼세액공제'도 신설하고, 자녀 있는 가구의 양육비 부
[인터뷰] 조인걸 한국관세사무소 대표에게 현장의 애로를 듣다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한국관세사회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관세사무소를 개업한 곳은 지난 2023년은 33곳. 신규 사무소를 개업한 관세사들 중 일부는 한국무역협회나 상공회의소에 상담 컨설팅을 해주는 역할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보니, 실질적으로 관세사무소를 운영하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이처럼 지난해 저조한 개업률은 신입 관세사들이 현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어려운 관세사 시험을 통과하고 관세 업무의 전문성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 체제 속에서 살아남기 어려워 다른 업으로 (특히 관세청 공무원) 전향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최근 연간 개업률이 크게 낮아진 관세사무소 업계에서, 신규 개업 관세사무소들은 이처럼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수출입 업무의 가교역할을 대신하는 전문가들인 신규 관세사들의 입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 향후 관세사 업계가 존폐의 위기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최근 1년간 관세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조인걸 한국관세사무소 대표관세사를 통해 현재 업계의 애로사항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신규 관세사들 ‘개업률 3%’ 혼란스런 시장 상태 버티기 어려워 지난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