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6.6℃
기상청 제공

인천공항공사, 중부지방고용노동청과 MOU 체결..."일자리 회복 기대"

‘고용 위기-회복-활력’ 단계별 협업 강화
공항 맞춤형 사업 발굴, 제도 개선 등
일자리 생태계 회복 및 활성화 위해 공동 노력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 회의실에서 열린 '인천공항 일자리 생태계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오른쪽)과 이헌수 중부지방고용노동청장(왼쪽)이 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 회의실에서 열린 '인천공항 일자리 생태계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오른쪽)과 이헌수 중부지방고용노동청장(왼쪽)이 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2일 중부지방고용노동청과 '인천공항 일자리 생태계 회복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코로나19 위기 및 회복 단계별 적절한 대책 마련 및 건전한 공항 일자리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체결됐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여객 수요 감소로 공항 내 많은 일자리가 감소된 가운데,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 및 항공수요 회복시기 공항 내 구인 수요의 급격한 증가세에 대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됐다.

 

협약체결을 바탕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은 '고용 위기-회복-활력'등 고용 단계별로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공동대응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양 기관은 △공항 생태계 회복 및 활력제고를 위한 협력기반 강화 △일자리 지원 시스템 및 공항 일자리 정보 공유, 실태 조사 협업 △공항 일자리 특화 사업 발굴 및 시행 △공항 기업 및 종사자의 일자리 매칭 사업 협력 △지속가능한 공항 일자리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등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양 기관은 지역 중소기업 지원을 위하여 인천시 중구와 함께 '인천공항지역 중소기업 근로자 기숙사 임차비 지원사업'을 진행 중 이다. 오는 7월 초에는 공항 휴·퇴직자를 위한 이·전직 교육 및 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공항 일자리 생태계 위기 상황에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각 기관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공항 맞춤형 제도 개선 및 지원 사업 협업 등을 강화함으로써 침체된 공항 일자리 생태계 회복 및 활성화를 견인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당장의 일자리 회복에서 나아가, 자연 재해, 팬데믹 등 다른 외부 변수에도 굳건한 공항 일자리 생태계 구축을 위하여 탄탄하고 촘촘한 일자리 지원체계 및 안전망 마련을 위하여 노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