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7 (목)

  • 맑음동두천 4.6℃
  • 맑음강릉 6.5℃
  • 맑음서울 5.3℃
  • 맑음대전 7.3℃
  • 구름많음대구 8.6℃
  • 구름많음울산 10.1℃
  • 구름조금광주 8.9℃
  • 구름조금부산 11.8℃
  • 구름조금고창 8.4℃
  • 맑음제주 12.4℃
  • 맑음강화 5.4℃
  • 흐림보은 7.7℃
  • 맑음금산 7.6℃
  • 맑음강진군 9.8℃
  • 구름조금경주시 10.0℃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예규·판례]상대방 거래사실 확인 실제 수입금액누락액 재조사해 경정함이 타당

심판원, 청구인 사칭 위조 발급한 계산서를 근거로 매출누락액으로 산정한 처분은 부당

(조세금융신문=김종규 기자) 조세심판원은 청구인의 2018년 수입금액 누락액으로 산정한 금액에 대해서도 계산서합계표 제출일람표 불부합명세서상 거래상대방으로부터 거래증빙 등을 제출받아 이를 근거로 실제 수입금액 누락액이 얼마인지 여부를 재조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세액 등을 경정함이 타당하다는 심판결정례를 내놓았다.

 

처분개요를 보면 청구인은 2016.7.1. 000에서 야채· 청과 도소매업체인 000(쟁점사업장)를 개업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사업장 관할 세무서인 000서장(조사관서)은 쟁점사업장에 대한 계산서합계표제출일람표 자료처리 결과, 쟁점사업장에서 발급한 계산서 000원을 청구인의 수입금액으로 보아 과세자료를 처분청에 통보하였다.

 

처분청은 조사관서에서 통보된 과세자료와 청구인의 2018년 귀속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내역을 상호 대사한 결과, 청구인이(매출)계산서를 발급한 총액 000원 중 000원만을 수입금액으로 신고한 것으로 보아 그 차액인 000원(쟁점금액)을 청구인의 수입금액 신고누락액으로 확정하여 2020.10.8. 청구인에게 2018년 귀속 종합소득세 000원을 경정· 고지하였다.

 

청구인은 이에 불복해 2020.12.2. 심판청구를 제기하였다.

 

청구인에 의하면 처분청이 매출신고 누락액으로 본 쟁점금액은 AAA이 청구인을 사칭하여 위조 발급한(매출)계산서 금액이므로 청구인의 수입금액이 아니므로 처분청이 청구인의 2018년 귀속 매출누락으로 산정한 쟁점금액은 AAA이 허위로 발급한 계산서의 거래가액의 합계액일 뿐 청구인의 매출액이 아니다 라고 주장했다.

 

반면 처분청에 따르면 청구인은 쟁점금액의 매출을 누락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증빙을 제시하지 아니하였는바, 처분청이 청구인의 매출처가 신고한 자료를 근거로 쟁점금액을 청구인의 매출누락액으로 산정한 처분은 정당하다는 의견이다.

 

또 처분청은 설령, AAA이 쟁점사업장의 계산서를 발급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청구인의 사업자등록번호를 도용한 것이 아니라 발급권한을 청구인으로부터 위임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바, 쟁점금액 상당 계산서의 발급 주체가 AAA이라는 이유만으로 허위의 계산서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을 냈다.

 

한편 조세심판원은 청구인 AAA를 청구인이 AAA를 “사문서 위조죄 및 행사죄”로 고소한 결과 000은 “AAA (본명 BBB)이 쟁점사업장의 직인을 임의로 날인하여, 행사할 목적으로 권한 없이 청구인의 명의의 사문서인 계산서를 위조하고, 위조된 것을 모르는 000에게 교부하였다”고 판결하여 000이 쟁점사업장으로부터 교부받은 것으로 신고한 계산서 금액 000원은 전액 AAA이 허위 발급한 계산서임이 확정되었다.

 

따라서 처분청이 산정한 청구인의 수입금액누락액에 포함된 000에 대한 매출액 전부는 수입금액 누락액에서 제외되어야 할 것이라고 심판원은 판단했다.

 

또한 심판원은 거래상대방의 장부, 금융계좌내역 및 기타 거래증빙 등을 통해 거래사실 확인을 하지 아니한 채 거래처들의 신고내용만을 그대로 신뢰하여 쟁점사업장의 매출누락액을 산정하는 것은 과세 근거가 부족하다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심판원은 처분청이 청구인의 2018년 수입금액 누락액으로 본 000원 중 000원은 수입금액누락액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수입금액누락액으로 산정한 금액에 대해서도 쟁점사업장의 2018년 귀속 계산서합계표 제출일람표 불부합명세서 상 거래상대방으로부터 거래증빙 등을 제출받아 이를 근거로 쟁점사업장의 실제 수입금액 누락액이 얼마인지에 대하여 재조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과세표준 및 세액을 경정함이 타당하다고 심리판단, 주문과 같이 재조사 결정(조심 2021광0816, 2021.12.03.)을 내렸다.

 

[주 문]

☞ 000서장이 2020.10.8. 청구인에게 한 2018년 귀속 종합소득세 000원의 붑과처분은 수입금액 누락액 000원 중 000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금액 000원에 대해서는 000의 2018년 귀속 계산서합계표 제출일람표 불부합명세서 상 거래상대방에 대한 거래사실확인 등을 통하여 실제 수입금액 누락액이 얼마안지를 재조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과세표준 및 세액을 경정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단식(斷食), 배고픔의 고통을 이기는 힘과 경영지혜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모 정치인이 갑작스레 단식을 이어가 많은 사람의 주의를 끌었다. 역사상 단식은 많은 사례가 있어 왔다. 단식(斷食)은 실타래 같이 이어져 있는 생명의 유지를 위한 음식공급망을 의식적으로 빠르게 끊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서히 섭취를 줄이는 절식(節食)과는 다르게 그 배고픔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이 크고 생물의 본능을 공격하는 것이라 정신과 육체 모두를 원시상태로 되돌리는 극기의 인내를 감수해야만 가능하다. 필자에게도 단식경험이 있다. 60년대 우리나라는 전쟁후유증으로 인한 궁핍한 경제로 국민학생들이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생각나는 그때, 워낙 가난한 사정 때문에 하루에 한 끼도 못 채우고 수돗물로 배 채울 정도로 배고픔을 참아가며 열심히 공부해 항상 우등생 반열에 올랐던 절친이 있었다. 필자는 그 친구의 상황을 공감하기 위해 똑같이 하루에 한 끼로 하며 빈 배를 수돗물로 채우는 과정을 동반 체험해봤다. 결국 3일을 넘기지 못했다. 그 배고픔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필자는 배고픔을 수돗물로 채우고도 끝끝내 강한 의지로 항상 공부를 잘했던 그 친구를 정말 존경했고 후일 그 친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