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9 (수)

  • 흐림동두천 -1.6℃
  • 구름많음강릉 7.5℃
  • 흐림서울 2.7℃
  • 흐림대전 6.4℃
  • 흐림대구 7.2℃
  • 구름많음울산 7.1℃
  • 흐림광주 7.3℃
  • 흐림부산 8.2℃
  • 흐림고창 7.8℃
  • 구름많음제주 13.8℃
  • 흐림강화 0.4℃
  • 구름많음보은 4.8℃
  • 흐림금산 5.2℃
  • -강진군 10.1℃
  • 흐림경주시 6.8℃
  • 흐림거제 9.0℃
기상청 제공

은행

[주요은행 WM전략] 신한은행, ‘자산관리 리딩뱅크’ 대중화로 수성한다

(조세금융신문=이기욱 기자) 신한은행은 오랜 기간 국내 WM시장의 선두주자로 평가받아 왔다. 지난 2011년 말 다소 생소한 개념의 ‘복합금융점포’를 처음 선보였다. 당시 신한은행이 내 세운 PWM(Private Wealth Management)은 아직까지 자산관리 특화 점포의 원조로 여겨지고 있다.

 

PWM규모도 꾸준히 증가해 지난 9월 기준 29조360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2조5141억원 증가한 수치다. WM고객 자산도 지난해보다 2조2657억원 증가한 3조4420억원으로 나타났다.

 

자산관리 세분화도 신한은행이 자랑하는 WM사업 특화 전략 중 하나다. ‘3-Layer 고객층’을 위한 맞춤식 자산관리로 더 많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산관리 대중화를 이끌어가고 자산관리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한은행은 고객들의 니즈, 자산규모에 따라 3개 군으로 세분화해 WM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3억 원대 자산가 고객은 프리미어·PWM 라운지에서, 3~50억원대 고자산가 고객은 PWM센터에서, 50억원 이상 초고자산가 고객은 본부 전문가와 PB팀장이 원팀(one-team)체제로 PVG(Privilege)센터에서 관리하고 있다.

 

고액 자산 고객수도 시중 은행 중 가장 많은 수를 자랑하고 있다. 9월말 기준 투자 자산 10억원이상에 해당하는 고객 수는 1만2341명으로 은행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5~10억원’과 ‘1~5억원’에 해당하는 고객들도 각각 3만5433명, 28만2374명을 기록하며 은행권 2위 자리에 올라있다.

 

하지만 WM시장을 이끌어오던 신한은행은 최근타 은행과의 차별성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신한은행 PWM사업의 기본 틀은 위성호 신한은행장이 과거 자산관리(WM)부문장을 역임하던 시절에 대부분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PWM복합센터, 세분화 자산관리 등의 모델은 한동안 WM시장을 이끌어 왔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사한 모델을 사용하는 경쟁사들에게 추격을 받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복합점포수는 KB국민은행에 역전을 허용했다. 현재 신한은행의PWM센터(은행 PB, 증권 복합점포)는 27개며 PWM라운지(은행 리테일, 증권 복합점포)는 26개다. 여기에 보험 복합점포 2개를 합친 총 WM복합점포의 수는 55개로 국민은행의 62개보다 7개 뒤처진다.

 

전문가 인력 역시 세무사 8명, 부동산전문가 9명 총 17명이다.

 

경쟁 은행과의 차별성 확대를 위해 신한은행은 ‘모바일을 통한 자산관리 대중화 전략’을 취할 방침이다. 신한은행 지난 2016년 은행권 최초로 모바일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엠폴리오’를 출시해 포트폴리오 투자기법을 소액으로도 가능하게 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ELF(주가연계펀드)와 골드뱅킹(금 투자) 가입 등으로 투자 상품 대중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모바일 경매자문 플랫폼으로 경매 물건 분석과 평가, 대출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처리하는 부동산 투자 솔루션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디지털플랫폼을 통한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형성할 계획이다.

 

동시에 글로벌 상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차별화에도 나설 예정이다. 신한은행의 강점 중 하나인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기업공개(IPO) 등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현재 신한베트남은행은 현지 외국계 1위 은행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 WM시장에도 진출한다. 신한은행은 베트남에서의 성공적인 PWM 사업모델 정착과 본격적인 WM 영업을 위해 ▲PWM 채널 신규 오픈 지원 ▲하드웨어 매뉴얼 ▲고객관리 체계 등을 신한베트남은행에 전방위로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신한은행은 법인 CEO나 초고액자산가의 니즈에 맞춘 법인 고객 종합컨설팅서비스도 점차 강화할 예정이다.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증대해 FO(Family Office)의 주축인 가업승계, IPO, 세무상담등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신한금융투자 등에 흩어져 있는 WM조직을 지주 산하로 일원화하고 IPS본부들도 지주 산하 조직으로 편제하는 방안 등도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현 단계의 실효성과 각 계열사들의 독립성 등의 문제도 함께 제기되고 있어 실제로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신한은행 WM사업부 관계자는 “고객 중심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 디지털 자산관리, 자산관리 대중화를 통해 차별성을 키워나갈 것”이라며 “모바일 경매자문 플랫폼과 현장방문형 세미나 ‘부동산 필드 아카데미’ 등으로 부동산 자산관리 부문도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 폐지의 영향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의 폐지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가 지난 3월 폐지되었다. 별장 중과세 규정은 1973년 사치·낭비 풍조를 억제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농어촌지역에 소재한 별장을 더 이상 특정 계층만이 소유하는 고급 사치성 재산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는 국민들의 의식변화를 고려해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점증하게 되자, 중과세 규정을 폐지하는 내용의 지방세법개정안이 2020년 제안되고, 개정안이 올해 국회를 통과하면서 별장 중과세는 50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별장의 취득세는 도입 당시 표준세율의 7.5배 수준을 유지하다가, 폐지 직전에는 취득세 기본세율에 중과세율 8%를 가산해 부과하였다. 별장의 재산세는 도입 당시 일반재산세율의 2배(0.6%)였다가, 2005년 종합부동산세가 도입되면서 별장 재산세 중과세율이 과세표준의 4%로 1%p 인하되어 부과되어 폐지직전까지 계속되었다. 별장의 개념 별장의 개념에 관해 종전 지방세법은 “주거용 건축물로서 상시 주거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휴양·피서·놀이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과 그 부속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