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맑음동두천 17.8℃
기상청 제공

보험

국내 보험사, 3Q 누적순익 11조원 돌파…“새 회계제도 도입 영향”

4일 금융감독원 ‘2023년 1~9월 보험회사 경영실적’ 발표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국내 보험사들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 규모가 11조원을 훌쩍 넘어서며 전년 동기 대비 4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1~9월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생명보험회사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조4556억원(49.4%) 증가한 4조3993억원으로 집계됐다.

 

보장성 보험 판매 증가와 회계제도 변경 효과 등에 따라 보험손익이 개선됐지만, 금리 상승으로 인해 투자손익은 전년 동기(17조6664억원)와 비교해 10분의 1 수준(1조6025억원)으로 악화됐다.

 

손해보험사 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2조2057억원(45.8%) 증가한 7조232억원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보험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했고, 회계제도 변경 효과로 보험손익이 개선됐다. 다만 투자손익은 생보사와 마찬가지로 전년 동기 대비 71.5% 감소한 2조292억원에 머물렀다.

 

전체 보험사의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2%와 9.06%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54%p 상승, 0.39%p 떨어졌다. 총자산과 자기자본은 각각 지난해 12월 말 대비 12.0% 감소, 89.1% 증가한 1153조4000억원, 168조1000억원이었다.

 

금감원은 “회계제도가 변경되면서 자산 항목인 보험계약대출, 미상각신계약비, 보험미수금 등이 보험부채로 반영됐고 운용자산 평가손실로 자산이 줄었다”며 “그럼에도 보험부채 시가 평가 등으로 부채가 더 크게 줄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재무건전성을 선제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증가, 금리‧환율 변동성 확대 등으로 올해 4분기 손익과 재무 변동이 커질 수 있다”며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보험사를 중심으로 보험영업, 대체투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해 상시검사를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