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01252/art_16086907805936_dad2c8.jpg)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정부가 내년 3월 정책형 뉴딜펀드를 본격 조성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2일 ‘제2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7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정책형 뉴딜펀드 운용 및 민간참여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홍 부총리는 “내년 3월부터 펀드조성을 본격 개시할 수 있도록 펀드 재원배분, 민간유인체계 등 후속조치를 확정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대 30%를 뉴딜 인프라에, 나머지는 뉴딜 관련 기업에 투자하고 펀드 운영기간 장기화와 정책출자비율 확대 등 인센티브를 통해 투자자 유인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 홍 부총리는 “정부 출자, 민간 매칭 등을 통해 정책형 뉴딜펀드를 조성하되 이 중 최대 30%를 뉴딜 인프라에 투자해 나가고자 한다”며 “나머지 70%는 뉴딜 관련 기업에 투자하되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등 6대 핵심 산업에 50% 이상 투자하는 투자제안형 펀드와 인수·합병(M&A),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성장형 펀드를 각각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홍 부총리는 투자 유인 방안에 대해 “민간자본의 장기·모험투자 유도와 쏠림방지를 위해 재정의 후순위 투자 외에도 필요한 분야는 펀드운용기간을 20년까지 장기화(통상 7~8년) 하도록 허용할 것”이라며 “투자 필요성과 위험도 등에 따라 정책출자비율 최대 45%(평균 35%)까지 높이고, 성과보수 지급 기준수익률을 최대 4%(통상 7% 수준)까지 낮추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반 국민이 참여한 사모재간접 공모펀드를 내년 1400억원 규모로 우선 조성하고 이에 대한 국민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재정의 후순위 투자 비율을 최대 20%까지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