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5℃
  • 흐림강릉 1.1℃
  • 구름많음서울 2.6℃
  • 흐림대전 2.3℃
  • 구름많음대구 3.5℃
  • 구름조금울산 2.6℃
  • 흐림광주 2.1℃
  • 맑음부산 3.5℃
  • 흐림고창 1.4℃
  • 흐림제주 4.6℃
  • 구름조금강화 1.3℃
  • 흐림보은 0.9℃
  • 흐림금산 1.6℃
  • 구름많음강진군 2.5℃
  • 구름많음경주시 1.7℃
  • 맑음거제 3.6℃
기상청 제공

사회

[전문가칼럼] 군자는 배부름과 편안한 곳보다는 ‘호학’을 추구한다

 

 

(조세금융신문=나단(Nathan) 작가)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자왈;  군자식무구포, 거무구안, 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배부름과 편안한 곳을 추구하지 않으며, 일은 민첩하게 처리하되 말은 신중하게 하며, 도(道)를 가까이 하며 바르게 한다면, 호학(好學)이라 이를 만하다.” _ 학이(學而) 1.14

 

배움을 위해서 공자학당에 모여든 3천여 명 중에서 호학의 경지에 이른 제자는 ‘육예(六藝)’에 능통한 칠십자(七十子)입니다. 이 칠십여 명 중에서도 공자가 꼽은 열 명의 제자가 있습니다. 이들을 공문십철(孔門十哲)이라고 부릅니다.

 

“덕행에는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고, 언어에는 재아와 자공이며, 정사에는 염유와 계로(자로)이고, 문학에는 자유와 자하였다.” _선진(先進) 11.2

 

이 중에서 진정한 ‘호학’의 경지에 이른 제자는 과연 누구일까요? 대표적으로 안연, 자하, 자장, 증자, 자유를 들 수 있습니다.

 

김원중 교수의 《논어》에 의하면, 이들은 각각 21회, 21회, 18회, 15회, 8회 정도 《논어》에 등장했습니다. 참고로 1위는 42회의 자로, 2위는 38회의 자공입니다.

 

자로는 가장 오랜 기간 공자를 수행했기 때문에 출연이 제일 많습니다. 학문적 성과는 출연한 횟수 대비 미치지 못했지만 공부에 대한 열정은 그 누구보다 강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승에게 꾸지람을 들어도 개의치 않고 많은 질문을 했습니다. 자공은 안연 다음으로 총명하기는 넘버투이지만, 순수한 호학이라는 측면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비록 그의 학문적 성취도 높은 편이지만, 학자의 길을 걷기보다는 부와 명예에 좀 더 집중해서일 것입니다.

 

요절한 안연을 제외하고, 자하, 자장, 증자, 자유는 후학을 양성하면서, 공자의 사상을 더욱 널리 전파하고, 공부에 진심을 다했습니다.

 

공자가 꼽은 열 명의 제자 중에서 증자가 포함이 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사람들의 추측이 난무했습니다. 하지만 증자는 이 중에서 나이가 제일 어렸고, 공자의 말기 제자입니다. 더군다나 공자가 말년에 노나라로 돌아온 후 5년 만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아무래도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후 뛰어난 학문적 성취로 대기만성(大器晩成)했습니다. 그는 매일 세 가지, ‘충(忠), 신(信), 습(習)’(학이 1.4)으로 자신을 반성하면서 공부하고 실행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의 학통은 결국 맹자(孟子, 기원전 372년~289년)로 이어졌습니다.

 

군자는 배부름과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논어》에서 유일하게 칭찬만 받은 제자는 안연뿐입니다. 그야말로 압도적인 1등 제자입니다. 그의 배움에 대한 열의를 공자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습니다.

 

“안회(안연의 이름)라는 제자가 배우기를 좋아하고, 노여움을 다른 곳에 옮기지 않고, 과오를 두 번 되풀이하지 않았습니다. 불행히도 일찍 죽었습니다. 지금은 이 세상이 없으니, 배우기 좋아하는 제자를 듣지 못했습니다.” _옹야(雍也) 6.2

 

매슬로의 욕구의 5단계가 있습니다. 첫째 생리욕구, 둘째 안전욕구, 셋째 애정과 소속 욕구, 넷째 존경 욕구, 다섯째 자아실현 욕구가 그것입니다.

 

음식을 통해서 생리욕구를 해결하고, 안전한 장소에 살면서 안전욕구를, 가정을 이루거나 연애를 하면서 애정, 회사나 사업, 다른 단체에 소속되면서 소속 욕구를 느낍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면 존경을 받게 됩니다(모두가 존경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높은 단계가 자아실현 욕구입니다. 물론 네 가지의 욕구만으로도 행복한 사람들이 있을 것입니다. 잘 먹고, 잘 자고, 사랑하고, 존경받으면 충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자와 그의 제자들은 ‘자아실현 욕구’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나의 욕구를 어떻게 만족하면서 살아야 할까요?

 

공자는 다음과 같은 답을 제시했습니다. “군자는 배부름과 편안한 곳을 추구하지 않으며(食無求飽, 居無求安 식무구포, 거무구안), 일은 민첩하게 처리하되 말은 신중하게 해야 한다(敏於事而愼於言 민어사이신어언)”. 말을 아낀다는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것에 대해서 감사하고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과시하거나 티를 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무엇보다 도(道)를 가까이 하며 자신을 바르게 해야 한다(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의)라고 강조했습니다. 즉, 도를 가까이 하고, ‘배움의 자세’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호학’은 자아실현의 욕구

 

‘나’를 제대로 바라보고, 어떻게 하면 좀 더 나은 ‘나’가 될 수 있을지 치열하게 고민하고 책을 읽으면서 사색하고, 실천하는 것의 군자의 삶입니다. 책을 읽고, 사색하고, 글을 쓰는 것이 그 중의 하나입니다.

 

배우다 보면 알게 됩니다. 나의 생각이 얼마나 작고, 이 세상과 우주가 얼마나 넓은지 말입니다. 그러면서 지혜를 터득하고, 삶을 겸허하게 바라봅니다. 그것이 결국 행복에 이르는 길입니다. 더 많이 읽고, 느끼게 될수록 내가 갖고 있는 것들에 감사한 마음을 갖고, 아무리 사소한 음식도, 내가 거주하는 공간도 소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편안함과 안락함을 추구하는 욕망은 끝이 없습니다. 더 넓은 아파트, 더 쾌적한 공간을 찾아서 늘 노심초사해야 합니다. 차라리 적당한 불편함을 안고 사는 편이 낫습니다. 그래야 지금 나의 삶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호학의 경지’는 ‘자아실현의 욕구’입니다. 호학은 단순히 배우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배운 바를 제대로 실행하는 것입니다. 공자는 《논어》에서 ‘실행의 중요성’을 수없이 이야기할 정도로 실행을 강조했습니다. 결국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타인을 배려하는 ‘인(仁)’의 정신과 자신을 돌아보면서 반성하고, 겸허하게 사는 것을 말합니다.

 

공자와 그의 3천 명의 제자는 의식주(衣食住)가 불편한 가운데에서 배움의 기쁨을 추구했습니다. 함께 ‘도’를 추구하면서 호학의 기쁨을 누린 것입니다.

 

 

[프로필] 조형권(나단) 작가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논어를 읽다》 출간, 교보문고 MD의 선택

•《적벽대전 이길 수밖에 없는 제갈량의 전략기획서》 출간, 교보문고 북모닝 CEO도서 선정

•《공부의 품격》 출간

•(현)SK그룹 내 마케팅 임원

•성균관대학교, EMBA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성질이 고약하다”에서 본 리더의 그릇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국가, 지지체, 법인, 단체 가족 등 인간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CEO, 즉 조직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의 장이 유능하냐 무능하냐에 따라 그가 이끄는 조직은 백만대군을 가지고도 고구려의 소수 군사에 패한 당나라의 지리멸렬한 군사조직이 되기도 하고 임진왜란 시 10척의 배로 일본의 수백 척 왜선을 물리친 연전연승의 조선수군이 되기도 한다. 그만큼 조직의 장의 위치는 그가 가지는 재주와 기질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질 수밖에 없는 조직의 미래와 운명을 불가역적으로 결정하게 만든다. 필자는 우연히 물개영화를 보다 한 내레이션의 문구가 인상에 남았다. 관광객들에게 주의를 주는 멘트였는데, 물개가 얼굴은 귀엽게 생겼지만 성질이 고약해 쓰다듬지 말라는 말이었다. 여기서 ‘성질이 고약하다’는 어원의 출처를 캐보면 옛날 우리나라 최대의 성군이라 일컫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등장하게 된다. 한글을 창제하고 영토를 확장하고 장영실 같은 천민을 발굴해 과학 창달을 이뤄 당대에 태평 치세를 이룬 그에게 ‘성질이 고약하다’라는 어원의 출처가 등장하다니 뭔가 재밌는 일화와 후대들에게 시사하는 레슨이 있음은 분명해보였다. 그
[탐방] 공정경제 선도하고 국민안전 수호하는 '수도 서울세관 조사 1국'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서울본부세관(세관장 고석진) 조사1국은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불법·부정무역과 불공정행위 등 공정한 거래질서를 훼손하는 중대범죄 단속에 총력을 기하고 있으며, 특히 급변하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서 사이버 범죄가 지능화·대형화 되면서, 서울세관 조사1국 직원들은 전방위적 대응 체계를 구축하며 불법 온라인 거래 단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사1국은 서울세관만의 특징적인 지리‧환경‧업무적 변수에 발맞춰 정확한 정보분석을 통한 적시 대응으로 수도세관 조사국으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탐방에서는 이처럼 끊임없이 국민들의 건강과 경제안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서울본부세관 조사1국의 주요 역할과 성과, 그리고 역동적인 활동상을 들어봤다.[편집자 주] 서울세관 조사1국, 불법 무역 단속 강화 서울본부세관 조사1국은 관세범, 대외무역사범, 민생 및 국가경제 침해사범, 마약범죄에 대한 정보 수집과 분석, 그리고 범칙 수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조사1국은 조사총괄과, 조사1관, 조사2관, 특수조사과, 디지털무역범죄조사과, 조사정보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의 건강 보호와 공정경제질서 수호를 위해 노력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