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6 (금)

  • 구름많음동두천 28.5℃
  • 구름많음강릉 32.9℃
  • 흐림서울 32.2℃
  • 흐림대전 27.3℃
  • 구름많음대구 31.5℃
  • 구름조금울산 32.0℃
  • 흐림광주 29.3℃
  • 구름조금부산 31.4℃
  • 흐림고창 29.6℃
  • 제주 28.3℃
  • 흐림강화 25.8℃
  • 흐림보은 30.1℃
  • 흐림금산 28.2℃
  • 흐림강진군 28.8℃
  • 구름많음경주시 32.8℃
  • 구름많음거제 29.2℃
기상청 제공

세 · 재테크

자산관리 세무상식(31)...임대료 110만원 받으면 세금은 얼마인가요?

(조세금융신문=정승조 세금전문가) 임대료가 나오는 상가를 계약하러 가기 전에 많은 것을 챙겨야겠지만 중요한 한 가지는 세금일 것입니다. 110만원 임대소득이 나온다고 가정하면 세금은 어느 정도가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부가가치세 포함 여부

 

상가를 임대하는 경우 내가 받을 임대료가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금액인지 별도인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를 포함해서 월 110만원을 받는다면 부가가치세 10만원은 내 돈이 아닙니다. 부가가치세는 임차인에게 받아서 국가에 내야 하는 세금인 것입니다. 따라서 월 100만원만 내 임대수익이 되는 것입니다. (일부 간이사업자의 경우는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100만원에 계약했는데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금액이라고 한다면 내가 받는 임대수익은 91만원(100만원*100/110)이 되는 것입니다.

 

<참고>

상가를 빌려 쓰는 임차인 역시 계약할 때 임차료에 부가가치세가 포함 된 것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됩니다. 300만원에 계약했는데 부가가치세가 별도라면 매달 330만원을 지불해야 됩니다. 일반 과세 사업자의 경우 향후 부가가치세 신고 시 납부할 세액에서 차감하거나 일부 환급이 될 수도 있지만 당장 현금 흐름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상가를 계약할 때에는 항상 부가가치세를 고려해야 됩니다.

 

2. 종합소득세 계산

 

그렇다면 종합소득세는 얼마일까요? 세금을 계산할 때는 항상 두 가지를 기억하라고 말씀 드립니다.

 

(1) 번 거(임대수익)에서 쓴 거(필요경비)를 빼고

(2) 그 차액에 세율을 곱하면 세금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월 100만원의 1년 치는 1200만원으로 이 금액이 번 거(임대수익)에 해당합니다.

 

번 거를 찾았으니 쓴 거는 어떤 금액인지 알아봅시다. 쓴 거는 항상 그 사업과 관련된 비용을 찾으면 됩니다. 임대료를 받기 위해 들어간 비용들이 해당될 것입니다. , 부동산을 취득하기 위해 들어간 비용은 제외됩니다. (취득 관련 비용은 향후 부동산 처분시 납부할 양도소득세 계산 할 때 차감될 것입니다.)

 

임대와 관련된 비용으로는 예를 들면 매년 납부하는 재산세나, 상가 임대차 계약을 할 때 들어간 공인중개사 비용(건물을 취득, 양도시 발생한 공인중개사 비용은 제외 양도소득세 때 적용), 부동산 관련 대출 이자 비용 등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비용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라 여기서는 임대수익의 30%를 쓴 돈(필요경비)라 가정해 보겠습니다.

 

번 거 1200만원 쓴 거 360만원(30% 가정) = 차액 840만원

 

 

3. 종합소득세 세율은 계단형 물통

 

종합소득세율은 6%~45% 초과누진세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앞서 본 자산관리에 꼭 필요한 세무 상식 성과급 1,000만원 받으면 세금이 얼마인가요?’를 참고 바랍니다.

 

차액 840만원의 세금은 840만원 * 6% = 50만원이고 지방소득세까지 감안하면 약 55만원 정도가 됩니다. 그런데 이것은 임대소득 외에 다른 소득이 없는 사람의 경우입니다.

 

4. 연봉이 1.5억인 사람이 임대소득 840만원이 추가로 발생했다면 어떻게 되나요?

 

연봉이 1.5억인 사람은 번 거는 1.5억 인 것이고 쓴 거를 대략 5천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물통에 1억원 어치가 담겨있게 됩니다.

 

1억에 대한 세금은 (1400만원 * 6%) + (3600만원 * 15%) + (3800만원 * 24%) + (1200만원 * 35%)로 계산될 것입니다.

 

그런데 종합소득세는 1년 동안 1개의 물통 안에 모든 종합소득을 넣게 됩니다. 이자, 배당, 근로, 사업, 연금, 기타소득이 모두 이 통에 들어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미 1억원 어치에 대한 물이 차 있을 것이고, 추가로 발생한 840만원은 전액 35%의 세율을 적용받게 될 것입니다. (그림상 빨간색)

 

840만원 * 35% = 294만원이고 지방소득세까지 감안하면 약 323만원이 될 것입니다.

 

4. 결론(요약)

 

임대료

 

110만원 11320만원

 

 

 

부가가치세

 

10만원 X 12= 120만원 (내 돈 X)

 

 

 

번 거 쓴 거

 

1200만원 360만원(필요경비 30% 가정) = 840만원

 

 

 

X 세율

 

840만원 X 6% X 1.1 = 55만원

840만원 X 15% X 1.1 = 139만원

840만원 X 24% X 1.1 = 222만원

840만원 X 35% X 1.1 = 323만원

840만원 X 45% X 1.1 = 416만원

 

 

 

세 후

 

784만원 ~ 1145만원

1320 120 55 = 1145

1320 120 416 = 784

 

[프로필] 정승조 세금전문가

• (현) 기업은행 WM사업부

• (전) 우리은행 WM사업부

• (전) 신영증권 패밀리오피스

• (전) 농협은행 WM사업부

• (전) 세무법인 대양 등 근무

• (자격증) 세무사/공인중개사/금융자산관리사 등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의사의 꿈을 버리고 인류 최고의 지혜를 만든 사람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의료계의 극심한 반대 속에서도 정부 측의 강행으로 의대증원이 확실시 되어가며 바야흐로 의사 전성시대가 도래되었다. 현재 의대정원 3058명이 5058명으로 대폭 늘어나며 10년 후에는 5만명 이상의 의사가 늘어나게 된 것은 반드시 우리 사회에 포지티브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양지가 있으면 음지가 존재하듯이 이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이 도래될 것임은 명확하다. 첫째는, 의사를 목표로 하는 광풍시대가 사회구조를 더욱 불균형으로 만들 것이다. 오로지 계급 최고의 위치에 있는 의사가 되기 위해 본인을 비롯해 부모들이 더 미친듯이 나댈 것은 지금까지의 입시 흐름을 봐서도 틀림없다. 그래서 흔히 회자되는 의대입학을 위한 반수생, N수생의 폭증이 불 보듯 뻔하며 이 수요는 이공계의 우수한 인재를 거의 고갈시켜 국가과학기술발전에 큰 후퇴를 가져올 것이다. SKY대 등의 이공계 우수인재들이 의대입학을 하기 위해 자퇴를 하고 의대입시 전문학원에 몰려드는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현재 바이오, AI, 우주, 반도체 등이 글로벌 산업의 중추로 국가간 초경쟁시대에 거꾸로 가는 현상이고 이는 국가미래에 매우 불안한 느낌을 준
[인터뷰] 창립 50주년 부자(父子) 합동 남서울관세사무소 홍영선 관세사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국내 최초의 부자(父子) 합동 관세사무소인 남서울관세사무소가 지난 5월 12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창립 50주년 행사를 열고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했다. 이 자리에는 특히 장시화·이용철·이영희·김용우·이상태·손종운 씨 등 남서울 창업 멤버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현재 남서울관세사무소를 이끄는 홍영선 대표관세사는 이날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통해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주년은 관세사회 역사에 커다란 획을 긋는 뜻깊은 기록이자 커다란 귀감이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전·현직 남서울 식구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믿음으로 다져온 남서울관세사무소의 50년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혁신과 도약의 100년을 다짐합니다”라고 전했다. 기념식에는 이승남 국가원로회의 정책위원 겸 KBS 前 국장도 참석해 “지금까지 믿음으로 50년을 지켜온 만큼 앞으로 100년도 믿음으로, 튼튼하게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될 것”이라며 덕담을 전했다. 남서울관세사무소(옛 남서울통관사)는 국내 첫 지하철(청량리역~서울역)인 1호선이 개통되고, ‘K-푸드’의 대표주자로 세계 60여 개 나라의 과자 시장을 휩쓰는 ‘초코파이’가 탄생하던 해인 1974년 5월 10일 고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