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0℃
기상청 제공

추경호 “저조한 탈세 포상금 실적…해외금융계좌 제보는 전무”

제도 정비로 탈세제보 활성화해야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까다로운 탈세 포상금 제도로 인해 실적이 거의 없거나, 비교적 활성화된 사례라 해도 예산추계를 맞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포상금 제도 지급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세청이 운영하는 7개 탈세포상금 제도 중 해외금융계좌 신고포상금은 작년까지 지급실적이 전혀 없었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금융계좌 신고대상이 잔액합계가 10억원 이상인 계좌만으로 사실상 제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은닉재산 신고포상금의 경우, 지난해 391건의 제보 중 포상금이 지급된 건은 30건이었다.

 

역으로 1년 치 예산보다 포상금 지급액이 더 높은 경우도 있었다.

 

차명계좌 신고포상금의 경우 예산은 12억2100만원이 책정되었지만, 실제 지급은 19억8500만원으로 7억6400만원(62.6%)이 초과했다.

 

은닉재산 신고포상금제도의 경우 5억9100만원(76%), 현금영수증 등 발급거부 신고포상금 예산은 3300만원이 초과 지출됐다.

 

추 의원은 “예산이 넘치면, 다른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국세청 예산 편성시 포상금 수요를 합리적이고 정확하게 예측할 필요가 있다”며 “지급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경우, 기준을 낮추거나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의 전반적인 제도 정비를 통해 탈세제보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