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맑음동두천 15.8℃
기상청 제공

[국세통계] 부동산·주식거래 탈세 3962억 추징...전년 대비 433억원↑

4256건 조사, 건당 추징액 9300만원...약 1000만원↑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세청이 지난해 부동산·주식거래 탈세에 대해 총 3962억원을 추징했다.

 

국세청이 5일 공개한 ‘2018 국세통계 2차공개’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주식 거래 등과 관련된 양도소득세 조사건수는 4256건, 추징세액은 3962억원으로 나타났다.

 

2016년보다 조사건수는 40건 늘어났지만, 추징액은 433억원 늘어난 셈이다.

 

건당 추징세금도 2016년 8400만원에서 지난해 9300만원으로 약 1000만원 가량 늘어났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서울시 행정사무 민간위탁 조례 개정 논란에 대하여
(조세금융신문=이동기 한국세무사회 세무연수원장) 서울시의회는 지난 3월 7일 개최된 본회의에서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를 ‘회계감사’로 되돌리는 조례개정안을 직권상정해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회계사와 함께 세무사도 할 수 있게 되었던 서울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가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회계사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개정되기 전의 당초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민간위탁조례”)’에서는 수탁기관이 작성한 결산서를 서울시장이 지정한 회계사나 회계법인 등의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었는데, 서울시의회가 이 제도를 민간위탁사업비에 대한 집행 및 정산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하는 사업비 정산 검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수탁기관의 불편과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회계감사’를 ‘결산서 검사’로 바꾸고 회계사뿐만 아니라 세무사도 결산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2021년 12월 22일자로 조례를 개정했었다. 이렇게 개정된 조례에 대해 금융위원회에서 민간위탁사업비 결산서 검사는 공인회계사법상의 회계사 고유직무인 회계에 관한 ‘감사 및 증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서 개정 조례에 대한 재의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