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6℃
기상청 제공

국내 친환경車 비중 8.2% ‘껑충’…서유럽·미국 제쳤다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지난해 국내 친환경자동차 시장이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해 시장점유율이 8.2%까지 올라갔다.

 

3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18년 자동차 신규등록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 승용차(수입차 포함)의 국내 판매량은 전년 대비 26.2% 증가한 12만4979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 판매량은 지난해 전체 승용차 판매량 152만5150대의 8.2%를 차지해 2015년 2.8%에서 크게 늘었다. 이는 선진국인 서유럽(6.6%)과 미국(3.9%)보다 높았지만 일본의 점유율 32.8%(2017년 기준)에는 못 미쳤다.

 

친환경차 종류별로는 하이브리드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포함)가 전년 대비 10.0% 증가한 9만3094대로 전체 친환경차의 74.5%를 차지했다.

 

하이브리드차의 증가는 지난해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ℓ당 1581원으로 전년(1491원)보다 올랐고 고급화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만족도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지난해 하이브리드차 최다 판매 모델은 현대차 그랜저로 2만4568대 팔렸다.

 

 

또 전기차는 정부 구매보조금과 세금감면 확대, 신규 모델 출시 등에 따라 전년 대비 110% 증가한 3만1154대로 집계됐으며 수소전기차는 지난해 출시한 현대차 넥쏘와 버스(2대)를 포함해 731대가 팔려 정부 보급 목표 659대를 넘었다.

 

한편, 지난해 경차와 소형차는 주요 수요층의 선호 차급 상향과 신규 모델 감소 등에 따라 각각 8.1%, 23.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경·소형 승용차의 판매 비중은 2014년 17.9%에서 2015년 14.1%에 이어 지난해는 10.0%까지 내려섰으며 서유럽(40.0%)과 일본(34.1%)보다 현저히 낮았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