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흐림동두천 10.6℃
기상청 제공

딜러가 매입 거절도…벤츠 전기차, 중고차 시장서 ‘찬밥’

 

(조세금융신문=신경철 기자) “중고차 시장에서 벤츠 전기차를 매입하는 딜러는 많이 줄었습니다”

 

중고차 시장에서 일하는 딜러 A씨는 9일 조세금융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렇게 말했다. A씨는 “화재사고로 벤츠 전기차를 팔려는 사람은 크게 늘었는데 사려는 사람은 드물다”며 “그나마 구입 의사를 가진 일부 고객은 가격을 지나치게 낮추고 있어 거래는 성사되지 않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번 전기차 화재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은 메르세데스-벤츠가 잇따른 매입 거절로 중고차 시장에서도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중고차 업계와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일부 딜러들은 벤츠 EQE, EQC 등 전기차 모델에 대해 매입을 거절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차량 감가는 문제가 아니고 주차장에 세워놨다가 불나면 다른 상사 차들도 피해를 보기 때문”이라며 매입 거절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벤츠 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의 전기차 모델에 대해서도 사려고 하는 고객 문의 자체가 많이 줄었다”고 덧붙였다. 벤츠 전기차 화재가 전기차 포비아(공포증)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벤츠 전기차가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화재 사고로 논란이 된 이후 중고차 가격이 하락하고, 심지어 매입 거절까지 당하고 있다는 소비자들 불만이 나오고 있다.

 

회원수가 1만 명에 달하는 벤츠 하이브리드&전기차 네이버 카페에는 최근 “헤이딜러도 도망간 전기차”라는 제목으로 글이 올라왔다.

 

보유하고 있던 벤츠 EQC 모델을 중고차로 판매한다는 글쓴이는 “청라 아파트 화재사건 전인 지난달 31일 헤이딜러에 매물을 올려 경매가 완료됐다”며 “낙찰이 되고 6일 오후에 매입하기로 한 딜러가 차를 보고 나서 특별한 사유 없이 매입하기 힘들다고 그냥 가버렸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번 화재로 인한 이유인데 말은 못하고 (딜러가) 어렵다고만 한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청라 아파트 화재 사고를 일으킨 벤츠 차량은 EQE 350 모델로, 중국 파라시스 테크놀로지가 생산한 삼원계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