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4.3℃
  • 흐림강릉 24.4℃
  • 서울 25.2℃
  • 흐림대전 25.2℃
  • 대구 22.6℃
  • 울산 22.5℃
  • 광주 23.0℃
  • 부산 22.2℃
  • 흐림고창 23.4℃
  • 흐림제주 25.0℃
  • 흐림강화 22.3℃
  • 흐림보은 23.3℃
  • 흐림금산 22.1℃
  • 흐림강진군 23.3℃
  • 흐림경주시 25.3℃
  • 흐림거제 22.3℃
기상청 제공

GS건설 사내벤처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 독립법인 분사 이어 친환경 건설자재 시장 진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GS건설의 사내벤처 2호인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Zero Next Materials)'가 독립법인으로 분사하여 친환경 건설자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GS건설은 12일,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의 류종현 대표와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의 이종훈 대표 외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 건설자재기업인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의 투자유치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는 '탄소 제로(Carbon Zero)를 넘어 그 다음(Next)를 위한 준비를 한다'는 의미를 담은 친환경 건설자재기업으로, GS건설에서 20년 이상 건설재료분야를 연구한 토목공학박사 류종현 대표를 주축으로 설립되었다.

 

이 회사의 첫 제품은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부산물 중 주로 폐기되는 제강슬래그와 화학 첨가제를 혼합해 그라우트에 투입되는 시멘트를 80% 이상 대체한 저탄소 친환경 건설 제품 '몰탈 그라우트(Mortar grout)'이다. 그라우트는 주로 토목, 건축 및 플랜트 현장에서 시공물 틈새를 채우거나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의 건설재료 중 하나다.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가 개발한 '몰탈 그라우트'는 기존 그라우트 제품 대비 시멘트량을 약 80% 줄이면서도 동일한 강도를 발현하는 데 성공해, 탄소배출량 감소와 가격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친환경 건설자재로 평가받았다. 이에 따라 GS건설 자회사인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했다.

 

제로넥스트머터리얼즈는 사내벤처팀으로 시작하여 약 1년간 130건 이상의 실험을 거쳐 그라우트 제품의 필요 성능을 달성했으며, 시제품 단계부터 잠재 고객들의 의견을 수렴해 제품에 반영하고, GS건설의 토목 현장에 시험 적용하며 기존 제품과의 호환성을 입증받았다.

 

현재 몰탈 그라우트 생산기술은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본격적인 제품 생산은 외주생산(OEM)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제철소와 원재료 공급 계약을 협의 중이며, 건설재료 유통사 및 시공사들과 유통 협의도 진행 중이다.

 

류종현 대표는 "친환경 몰탈 그라우트 제품을 시작으로 향후 친환경 저탄소 건설재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GS건설은 임직원들의 전문성을 살려 다양한 아이디어 제안을 통해 창의적인 문화를 조성하고,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2020년 8월부터 사내벤처제도를 운영 중이다. 육성 기간 동안 별도의 조직을 구성해 사업화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며, 분사 시 GS건설 자회사인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를 통한 지분투자 및 후속 지원을 하며 사내벤처제도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2022년에는 사내벤처제도를 통해 부동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디드랩'이 첫 분사 사례로 기록됐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정치인의 경계선, 정치꾼과 정치가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 22대 국회의원선거가 끝나고 여소야대의 틀을 만들고 새로운 정치판을 개장했다. 투표율 67%로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여 새로운 정치갈망을 표현했다. 정치에 투표하는 것은 모든 국민들이 나보다 못한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는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누가 나보다 나은 사람인지 아니면 못한 사람인지,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과 같이 구분이 어렵다는 사실이다. 듣도 보도 못한, 아닌 밤중에 갑자기 나타난 사람의 정체, 특히 감춰진 내면의 인성, 이념, 철학을 알 수가 없다. 겉으로 번지르르한 가면을 덮어쓴 그의 진정한 모습은 하늘이 아닌 다음에 어찌 알 방법이 있겠는가? 오로지 그가 내세운 탈가면을 쓴 그의 탈춤을 보고 찍는 수밖에 없다. 당선된 후에 그는 탈가면을 벗고 탈춤을 추지 않는다. 필요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의 진정한 얼굴은, 그동안 우리가 보지 못했던 생면부지의 얼굴로 되돌아가 그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그래서 기대했던 것보다 실망이 배가 되는 법이다. 초선 의원수가 전체의 44%, 4년마다 교체되는
[인터뷰] “삶의 질, 신뢰, 젊음이 성장 비결”…경정청구 ‘프로’ 김진형 회계사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인적소득공제에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기본공제액은 20년 전 정한 그대로입니다. 20년동안 자장면 값이 3배 올랐어요. 그러니까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부양가족공제액을 3분의 1로 축소한 셈이죠.” 지난 10일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인근 대형 아파트 단지 상가동에 자리 잡은 진형세무회계 김진형 대표(공인회계사)가 기자에게 한 말이다. 김 대표는 “출생률을 높이려면 물가가 오른 만큼 인적소득공제 등 부양가족 인센티브를 올리는 게 필수적”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눈이 동그래진 기자가 무릎을 탁 치며 좀 더 설명을 구하자 김 대표는 “세제 정책 전문가도 아닌데…”라며 손사래를 쳤다. 자신의 필살기인 ‘이슈발굴’, 이를 주특기로 승화시킨 ‘경정청구’ 전문성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하지만 세제 전문가가 따로 있나. 김진형 대표는 지난해에도 아무도 찾아내지 못한 정부 세제개편안의 문제점을 찾아냈다고 한다.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가 매년 회원들로부터 수렴하는 세제개편 의견으로 제출, 세법 시행령에 기어이 반영시켰다. 그래서 그 얘기부터 캐물었다. 물론 김진형 회계사의 필살기와 주특기, 그의 인간미를 짐작케 하는 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