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흐림동두천 10.5℃
기상청 제공

모처럼 웃은 국산차, 10월 내수 판매 ‘깜짝 반등’

영업일수 증가·판촉전 영향으로 전년 동기 比 23.8% 증가
쌍용차 올 들어 처음으로 ‘1만대 고지’…한국GM도 회복세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국내 완성차 업계가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모처럼 웃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차 등 5개 완성차 업체의 지난달 판매량은 총 73만913대로 전년 동기 대비 3.0% 늘어났다.

 

특히 내수 판매는 13만9557대로 23.8% 증가했다. 이렇게 큰 폭으로 판매량이 상승한 것은 지난해와 달리 추석이 9월로 앞당겨지면서 영업일수가 늘어난 것이 한몫했다. 또 연말을 앞두고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 대대적인 프로모션이 맞물리면서 실적이 올랐다.

 

업체별로는 현대차가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25.0% 오른 6만6288대를 판매했다. 싼타페가 전년 동기 대비 153.3% 급증한 9781대를 팔아 전체 판매 1위를 달성했으며 그랜저도 5.4% 많은 9037대로 실적을 쌍끌이했다.

 

또 아반떼는 신차효과로 7288대를 인도해 16.8% 신장했으며 코나(전기차 포함)는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3개월 만에 월 판매 5000대선을 돌파하는 등 주요 차종들이 모두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기아차는 22.9% 증가한 4만6100대를 팔았다. 특히 K 시리즈를 앞세운 승용 모델이 전년 동기 대비 36.6% 늘어난 2만1408대가 팔리며 내수 판매 증가를 이끌었다.

 

지난달 K9의 판매는 1220대로 판매가 본격화된 지난 4월부터 7개월 연속 월간 판매 1000대를 넘어섰으며 ▲K3 4114대 ▲K5 4250대 ▲K7 3784대 등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9.1%, 54.4%, 17.9% 증가했다.

 

아울러 최근 국내 경차 시장이 위축됐음에도 불구하고 모닝이 4.6% 늘어난 5289대로 선전했으며 레이도 85.0% 증가한 2313대의 실적을 기록했다.

 

쌍용차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1만82대가 팔리며 올 들어 처음으로 월 판매 1만대 고지를 돌파했다. 렉스턴 스포츠가 전년 동기 대비 139.1% 증가한 4099대를 판매하며 쌍용차 브랜드 내 월간 베스트셀링카에 이름을 올렸으며 G4 렉스턴(1573대), 티볼리(3910대)도 각각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르노삼성도 8814대를 판매하며 24.0% 신장했다. QM6가 전년 동기 대비 51.6% 오른 3455대를 기록했고 SM6는 3.0% 증가한 2155대를 판매했다. 이밖에도 ▲르노 클리오 681대 ▲마스터 174대 ▲트위지 109대가 각각 팔렸다.

 

최근 법인분리 갈등을 겪고 있는 한국GM은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7.8% 늘어난 8273대를 팔았다. 특히 트랙스가 62.5% 증가한 1558대가 팔리며 올 들어 최대 월 판매실적을 기록했다. 스파크(3731대), 말리부(1939대) 등 나머지 주력 상품들도 각각 판매량이 늘며 월간 판매량이 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한편, 5개사의 지난달 수출은 59만1428대로 전년 동기 대비 0.9% 하락했다. 업체별로는 현대차가 2.7% 내린 34만1872대를 팔았고 기아차는 0.8% 오른 20만4194대를 기록했다. 쌍용차는 0.4% 증가한 3342대, 르노삼성은 22.0% 감소한 9816대, 한국GM은 19.9% 상승한 3만2204대를 각각 수출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결초보은에서 배우는 의사결정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목이 다소 뚱딴지같은 느낌이 든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글자 그대로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고대서 지금까지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어온 고사성어다. 고사성어이지만 그 유래를 모르고 일상용어같이 흔히들 대화에 많이 사용된다. 여기에 의사결정이라, 어떠한 까닭에 결초보은과 의사결정 사이에 우리가 배우고 명심해야할 금과옥조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자못 궁금해진다. 먼저 그 결초보은의 유래를 알아보기로 하자.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진(晉)나라의 장수 위과는 적국인 진(秦)나라의 두회에 연전연패했다. 그 이유는 두회가 워낙 용맹한 장수였기 때문이었다. 전투 전날 위과는 잠을 자다 꿈속에서 ‘청초파로’라는 소리를 들었다. 알아보니 전쟁지역에 청초파라는 언덕이 있음을 알았다. 아마 적장 두회를 청초파로 유인하라는 암시로 보여 그곳으로 두회를 유인한 결과 용맹스러운 두회가 비틀거리며 꼼짝을 못했다. 그 틈을 이용, 두회를 잡아 큰 승리를 거뒀다. 그날 잠을 자는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내가 그 두회의 발을 풀로 묶었기 때문에 꼼짝 못하게 한 거요.” 위과는 “이 은혜를 뭐로 갚아야 할지.”, “아니오, 이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