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17.0℃
기상청 제공

국산차, 5월에도 ‘지지부진’…내수 정체·수출 감소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지난달 국내 완성차 업계의 해외 판매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 내수 판매도 정체됐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차 등 5개 완성차 업체의 지난달 판매량은 총 66만3984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했다. 내수 판매는 13만3719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같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해외 판매는 53만265대로 7.2% 줄었다.

 

업체별로는 현대차가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7.7% 줄어든 35만7515대를 기록했다. 이 중 내수 판매는 9.5% 늘어난 6만7756대로 호조를 이어갔다.

 

그랜저가 3개월 연속 월 판매량 1만대 돌파에 실패했지만 신차 효과를 보기 시작한 쏘나타가 1만3000여대 판매됐다. 싼타페와 코나도 각각 6800여대, 4300여대를 기록하며 힘을 보탰다.

 

그러나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1.0% 줄어든 28만9759대로 나타났다.

 

기아차는 지난달 23만9059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3.4% 줄었다. 내수 판매는 4만3000대로 8.6% 줄었으며 해외 판매 역시 2.2% 감소한 19만6059대를 기록했다.

 

레이, 쏘울, 스포티지, 니로 등이 판매량을 늘렸으나 주력 차종인 K시리즈와 카니발, 쏘렌토의 부진으로 상승세를 기록하지 못했다.

 

반면 한국GM은 지난달 4만1060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0.4% 늘었다. 3개월 연속 상승세다. 내수 판매는 6727대로 12.3% 줄었다. 스파크와 트랙스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0%, 21.9% 늘었으나 볼트 EV가 67.8% 줄어든 것이 컸다.

 

다만 해외 판매가 3.4% 늘어난 3만4333대로 집계되면서 이를 상쇄했다.

 

쌍용차는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6.2% 줄어든 1만2122대를 판매했다. 이 중 내수 판매는 1만106대로 4.1% 늘었다. G4 렉스턴이 16.6%, 렉스턴 스포츠가 16.8% 줄었으나 티볼리가 8.7%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특히 코란도는 5배 가량 판매량이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수출은 30.9% 줄어든 2232대에 그쳤다. 렉스턴 스포츠만 4배 가량 늘었을 뿐 나머지 모델들은 일제히 판매량이 감소했다.

 

르노삼성차도 지난달 1만4228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6% 줄었다. 내수 판매는 6130대로 16.5% 줄었다. SM7, SM7, 트위지가 늘고 QM6가 판매량을 유지했으나 SM5가 82.2%, 르노 클리오가 41.8%, SM6가 25.3% 줄어든 것이 영향을 줬다.

 

해외 판매는 QM6가 전년 동기 대비 0.8% 늘었음에도 닛산 로그가 6.1%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7.5% 줄어든 8098대를 기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