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1.1℃
  • 구름조금강릉 17.3℃
기상청 제공

벤츠, E클래스 타고 ‘씽씽’…10월 수입차 판매 1위 탈환

BMW도 한 달만에 2위 복귀…최다판매 모델 E300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지난달 수입차 시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가 6300여대를 판매하며 다시 판매 1위로 올라섰다.

 

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차 신규 등록대수는 전년 동기(1만6833대) 대비 23.6% 증가한 2만813대로 집계됐다. 지난 9월(1만7222대)보다는 20.9% 증가한 수치다.

 

또 올해 1~10월 누적 등록대수도 전년 동기(19만394대) 대비 14.4% 증가한 21만7868대로 나타났다.

 

 

브랜드별 등록대수로는 메르세데스-벤츠가 6371대를 팔아 1위에 복귀했다. 지난 8월까지 1위를 지켰던 벤츠는 9월에는 1943대를 판매하며 4위로 주저앉았으나 지난달에 다시 1위를 탈환한 것이다.

 

메르세데스-벤츠 관계자는 “몇 달간 재고 부족으로 판매가 부진했으나 신차 등이 충분히 공급되면서 판매량이 예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엔진 결함에 따른 주행 중 화재 위험으로 리콜을 시행 중인 BMW는 9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2131대의 판매량으로 2위에 올랐다.

 

이어 ▲렉서스 1980대 ▲도요타 1341대 ▲폭스바겐 1302대 ▲미니 1183대 ▲포드 1016대 ▲혼다 880대 ▲크라이슬러 690대 ▲볼보 687대 등의 순이었다.

 

지난달 베스트셀링 모델 1위는 잠시 주춤했던 벤츠 E300(2668대)이 다시 차지했다. 벤츠는 이 외에도 3개 모델을 베스트셀링 10위 안에 진입시켰다.

 

2위는 6년 만에 풀체인지(완전변경) 모델로 돌아온 렉서스의 ES300h(1633대)가 꿰찼고 벤츠 E300 4MATIC(1348대), 폭스바겐 파사트 2.0 TSI(1302대), 포드 익스플로러 2.3(507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6~10위는 도요타 캠리 하이브리드(466대), 혼다 어코드 하이브리드(444대), 벤츠 GLC 350 e 4MATIC(415대), BMW 520(398대), 벤츠 E220d 카브리올레(368대) 등이었다.

 

이밖에도 배기량별로는 2000cc 미만이 1만3364(64.2%)대로 여전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2000~3000cc 미만이 그 다음으로 많은 6431대(30.9%)였다.

 

연료별로는 가솔린이 1만2197대(58.6%)로 강세를 보인 반면 디젤은 4740대(22.8%)에 그쳤다. 하이브리드도 3865대(18.6%)나 차지했고 전기차는 11대(0.1%) 팔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결초보은에서 배우는 의사결정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목이 다소 뚱딴지같은 느낌이 든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글자 그대로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고대서 지금까지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어온 고사성어다. 고사성어이지만 그 유래를 모르고 일상용어같이 흔히들 대화에 많이 사용된다. 여기에 의사결정이라, 어떠한 까닭에 결초보은과 의사결정 사이에 우리가 배우고 명심해야할 금과옥조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자못 궁금해진다. 먼저 그 결초보은의 유래를 알아보기로 하자.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진(晉)나라의 장수 위과는 적국인 진(秦)나라의 두회에 연전연패했다. 그 이유는 두회가 워낙 용맹한 장수였기 때문이었다. 전투 전날 위과는 잠을 자다 꿈속에서 ‘청초파로’라는 소리를 들었다. 알아보니 전쟁지역에 청초파라는 언덕이 있음을 알았다. 아마 적장 두회를 청초파로 유인하라는 암시로 보여 그곳으로 두회를 유인한 결과 용맹스러운 두회가 비틀거리며 꼼짝을 못했다. 그 틈을 이용, 두회를 잡아 큰 승리를 거뒀다. 그날 잠을 자는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내가 그 두회의 발을 풀로 묶었기 때문에 꼼짝 못하게 한 거요.” 위과는 “이 은혜를 뭐로 갚아야 할지.”, “아니오, 이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