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2 (일)

  • 맑음동두천 6.1℃
기상청 제공

은행

재능기부에 복꾸러미·성금...BNK경남은행 ESG 분주

울산 남목고 3학년 학생들에게 ‘1사1교 금융교육’ 지원...재능기부
‘백합나눔회 성금’과 경남·울산 취약계층에 3억750만원 상당 복꾸러미 전달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창원과 울산지역 거점은행인 BNK경남은행이 연말연시에 취약계층에게 복꾸러미 및 성금 전달과 재능기부 등 각종 사회공헌 활동으로 구슬땀을 흘린 것으로 전해져 훈훈함을 더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울산남목고 3학년생들에게 금융교육을 실시하는가하면 설을 맞아 창원특례시와 진주시가 추천한 저소득층·독거노인 등 소외계층 가정을 위해 복꾸러미 전달 및 경남과 울산지역 복지시설에 ‘백합나눔회 성금’을 기탁하는 등 지역사회공헌에 분주한 행보를 전개한 것.

 

이는 해당지역을 모태로 출범한 지방은행으로서 그 위상에 걸맞은 발걸음이라는 평가다.

 

먼저 BNK경남은행은 지난달 26일 울산 남목고등학교에 ‘1사1교 금융교육’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금융교육에는 BNK경남은행 울산영업부, 울산시청지점, 울산법원지점, 태화동지점에 근무 중인 직원들이 금융교육 강사로 참여했다.

 

금융교육 강사들은 반을 나눠 학생들에게 ‘사회 초년생으로서 알아야 할 금융상식과 신용도 높이기’를 주제로 교육했다. 또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 숨어있는 나의 자산(휴면계좌) 찾는 방법, 주거래 은행 200% 활용하는 방법 등 각종 정보를 제공했다.

 

이어 지난 15일에는 ‘설날맞이 사랑나눔사업’ 추진의 일환으로 창원특례시에 ‘1억원 상당 복꾸러미’를 기탁했다. 이날 예경탁 은행장이 창원시청을 방문해 홍남표 시장에게 ‘복꾸러미 기탁 증서’를 전달한 것.

 

부침가루, 고추장, 참치, 당면, 김 등 식료품 18종이 담긴 복꾸러미는 창원특례시가 추천한 취약계층 2000세대에 나눠 지원된다.

 

또 23일에는 설을 앞두고 경남과 울산지역 복지시설에 ‘백합나눔회 성금’ 1700만원도 기탁했다. 이번 성금은 전 임직원이 월급여의 일정액(끝전)을 모은 성금에 BNK경남은행 기부금을 더해 마련됐으며, 경남과 울산지역 영업점에서 추천한 복지시설 45곳에 전달돼 복지시설 운영비로 쓰여질 예정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24일에는 ‘설날맞이 사랑나눔사업’ 추진의 일환으로 진주시에 ‘3000만원 상당 복꾸러미’를 기탁했다고 밝혔다. 이번에도 예경탁 은행장이 진주종합운동장을 찾아 조규일 시장에게 ‘복꾸러미 기탁 증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침가루, 고추장, 참치, 당면, 김 등 식료품이 담긴 복꾸러미는 진주시가 추천한 취약계층 600세대에 나눠 지원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 18일 BNK금융그룹 전 계열사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BNK사회공헌의 날’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식료품 18종을 박스에 담아 복꾸러미를 직접 만들었다.

 

BNK경남은행은 진주시를 마지막으로 경남과 울산지역 취약계층 총 6150세대에 3억750만원 상당 복꾸러미를 전달했다.

 

예경탁 은행장은 “지역의 어려운 이웃들이 따뜻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임직원들이 정성껏 만든 복꾸러미를 지원하게 됐다”며 “복꾸러미에 든 각종 식료품이 실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지역 취약계층들을 위한 따뜻한 사랑나눔을 실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정치와 세금: 세법개정안의 쟁점과 정치적 함의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2024년 세법 개정안은 경제 활성화와 조세 정의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의 결과로, 이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뜨거웠다. 지난 12월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4년 세법개정안은 총 13개였는데, 그 중 부가가치세법, 조세특례제한법은 정부안이 수정 가결되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정부안이 부결되었다. 상속세 과세 체계 개편 및 가업승계 활성화가 핵심이었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정부개정안은 부결된 반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의 쟁점이 있었던 소득세법 개정안은 원안대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또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세제지원 확대,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 통합고용세액공제 지원방식 개편, 전자신고세액공제 축소 등의 쟁점을 가진 조세특례제한법은 삭제 혹은 현행 유지하는 것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결론이 났다. 이번 논의의 중심에 섰던 세제 관련 사안들은 단순히 세제 개편 문제를 넘어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 왜 세법은 매번 정쟁의 중심에 서게 되는가? 이 질문은 정치와 세금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세법 개정 논의의 주요 쟁점 이번 정기국회에서 가장 논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