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22.9℃
기상청 제공

현대차 신형 쏘나타, 사전계약 닷새 만에 1만대 돌파

“월 판매량 2배…20대 등 젊은 개인 고객 증가”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현대자동차 신형 쏘나타의 사전계약 대수가 1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1일부터 전국 영업점을 통해 신형 쏘나타 사전계약을 접수한 결과 닷새 만인 15일까지 1만203대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하루에 약 2000대씩 계약된 것으로 지난해 기존 쏘나타 한 달 평균 판매 대수 5487대보다 거의 두 배나 많은 실적을 불과 5일 만에 달성한 것이다.

 

특히 전 세계적인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열풍으로 인해 지난 5년간(2014~2018년) 국산 중형 세단의 산업 수요가 무려 19.8%나 감소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달성한 것이어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아울러 신형 쏘나타는 개인 고객 비중과 20대 젊은 세대 비중이 월등히 높아졌다. 5일간 접수된 신형 쏘나타 사전계약 중 개인 고객 비중은 무려 48.9%로 5년 전 같은 기간 동안 접수된 7세대 쏘나타(LF)의 38%보다 무려 10.9%나 높아졌다.

 

또 개인 고객 중에서 20대 비중은 14%로 집계돼 7세대 쏘나타(5.3%)의 3배 가까운 수준으로 늘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키와 개인화 프로필, 빌트인 캠 등 스마트폰과의 연동성을 대폭 강화한 하이테크 신기술과 함께 고급 스포츠카를 연상시키는 감각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이 개성 강항 젊은 고객의 마음을 사로 잡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완전히 새로운 상품성을 갖추고도 기존 모델 대비 가격을 합리적으로 책정해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도 고객들의 빠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신형 쏘나타는 첨단 주행안전 기술과 첨단 편의사양을 기본화했고 차세대 파워트레인 ‘스마트스트림’과 3세대 플랫폼을 적용했다. 판매가격은 가솔린 2.0 모델 기준으로 2346만원~3339만원 내에서 책정될 예정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