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22.9℃
기상청 제공

도요타코리아, ‘뉴 제너레이션 RAV4’ 판매 개시

6년 만에 풀체인지 모델…판매가격 3540만원~3480만원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도요타코리아가  ‘뉴 제너레이션(New Generation) RAV4’의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6년 만에 풀체인지(완전변경) 모델로 새롭게 출시된 신형 RAV4는 ‘운전의 다이나믹함과 강력함, 정교함, 세련됨’이라는 의미를 담아 개발됐다.

 

특히 도요타의 TNGA(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 플랫폼 적용으로 저중심·경량화·고강성화를 실현하며 뛰어난 주행안정성과 민첩한 핸들링을 선보인다. 또 강인한 스타일과 뛰어난 공간성으로 RAV4만의 개성도 한층 강화했다는 설명이다.

 

외관 디자인은 ‘크로스 옥타곤(Cross Octagon)’ 컨셉의 입체적인 구조가 돋보이는 대담하고 강렬한 SUV의 이미지를 전달하며 역동적이고 날카로운 눈매의 LED 헤드램프와 다각형 디자인의 휠 아치는 모험적인 스타일링을 완성한다.

 

 

신형 RAV4는 2.5ℓ 다이나믹 포스 엔진이 탑재돼 직관적인 드라이빙을 경험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모델에 적용된 e-CVT는 매력적인 연료 효율과 탄탄한 주행성능을 체험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AWD 모델에는 후륜의 구동력 배분이 더 증대된 전자식 4륜구동 시스템(E-Four)으로 뛰어난 주행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새롭게 추가된 ‘트레일 모드(Trail Mode)’ 기능을 통해 험로 탈출도 보다 쉽게 도와준다.

 

아울러 긴급 제동 보조시스템(PCS),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 차선 추적 어시스트(LTA), 오토매틱 하이빔(AHB) 등 사고 예방에 효과적인 4가지 예방안전기술인 ‘도요타 세이프티 센스(TSS)’도 기본 장착됐다.

 

이밖에도 ▲넉넉한 적재 및 수납공간 ▲리클라이닝 기능이 탑재된 뒷좌석 ▲핸즈프리 파워 백도어(AWD)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AWD) 등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어울리는 편의사양이 적용됐다.

 

다케무라 노부유키 도요타코리아 사장은 “이번에 소개된 뉴 제너레이션 RAV4는 다양한 주행환경에서 운전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개발됐다”며 “SUV의 새로운 드레스코드를 제시하는 뉴 RAV4와 함께 자신만의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해 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뉴 제너레이션 RAV4의 국내 판매가격은 ▲가솔린 2WD 3540만원 ▲하이브리드 2WD 3930만원 ▲하이브리드 AWD 4580만원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