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강릉 7.4℃
기상청 제공

르노삼성, ‘더 뉴 QM6’ 출시…플래그십 브랜드 첫 선

국내 유일, LPG SUV 추가…판매가격 2376만원부터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르노삼성자동차가 간판 중형 SUV QM6의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QM6’를 17일 공개했다.

 

르노삼성은 이번 부분변경 모델을 통해 품질과 사양을 업그레이드한 GDe 외에도 최고급 플래그십 브랜드인 프리미에르(PREMIERE) 도입, 국내 유일 LPG SUV인 LPe를 처음 선보이며 다시 한번 새로운 시장에 도전한다.

 

이에 따라 새로 선보인 더 뉴 QM6는 전체 라인업 모두 디테일을 한층 업그레이드했다.

 

 

외관에서 라디에이터 그릴 및 안개등 크롬 데코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하고 프론트 범퍼에 크롬 버티컬 라인을 적용해 더욱 당당한 시각적 이미지를 향상했다. 또 스퀘어 타입 LED 전방 안개등을 전 트림에 기본 적용하고 18인치 투톤 알로이 휠도 LE트림으로까지 확대했다.

 

신규 편의사양도 업그레이드했다. ▲2열 시트 리클라이닝 ▲운전석 메모리&마사지 시트 ▲운전석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풀 스크린 애플 카플레이·안드로이드 오토 등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8.7인치 S-Link 기본화면에 공조장치 위젯 배치 등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사양을 집중 보강했다.

 

GDe 엔진 모델에 새로 추가한 프리미에르 버전은 차별화한 외관 디자인과 최상의 인테리어 감성 품질, 정숙성과 안전성을 갖췄다.

 

프리미에르만의 차별화된 고급성을 표현하기 위해 라디에이터 그릴과 사이드 엠블리셔(도어 트림 데코)에 프리미에르 전용 로고를 적용했으며 프리미에르 전용 스키드, 19인치 투톤 전용 알로이 휠, 빈티지 레드 보디컬러 등을 신규 적용했다.

 

인테리어에는 퀼팅 나파 가죽시트, 앞좌석 프레스티지 헤드레스트, 소프트 콘솔 그립핸들, 맵 포켓 인사이드 카펫, 소프트 페인팅 도어 트림 등을 적용해 감성 품질을 더했다.

 

아울러 8.7인치 S-Link와 12개의 스피커를 갖춘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이 모두 기본 적용됐다.

 

판매가격은 ▲SE 트림 2445만원 ▲LE 트림 2602만원 ▲RE 트림 2838만원 ▲RE 시그니처 트림 3014만원으로 기존 GDe 대비 추가된 사양에 비해 가격 인상을 최소화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했다. 또 프리미에르의 가격은 3289만원으로 책정됐다.

 

LPG 모델인 더 뉴 QM6 LPe는 현재 국내 시장 유일의 LPG SUV로서 가솔린 모델 못지않은 주행성능과 승차감, 친환경성과 경제성 등 다양한 장점을 앞세우고 있다.

 

판매가격은 ▲SE 트림 2376만원 ▲LE 트림 2533만원 ▲RE 트림 2769만원 ▲RE 시그니처 트림 2946만원으로 국산 중형 SUV는 물론 준중형 SUV 대비해서도 경쟁력 있는 수준으로 책정됐다.

 

김태준 르노삼성자동차 영업본부장은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맞춰 소비자 취향을 충족시켜줄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는 물론 수준 높은 품질도 제공해야 한다”며 “이에 새로운 플래그십 브랜드인 프리미에르와 신규 파워트레인 LPe 출시로 도심형 프리미엄 패밀리 SUV로서의 포지셔닝을 더욱 강화하고 고객들에게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