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은행

호시절 끝난 은행권…4대은행 1분기 순익 전년比 11%↓

신한·우리은행 ‘선방’, KB국민·KEB하나은행 부진…비이자이익 일제히 감소

 

(조세금융신문=이기욱 기자) 수년간 역대 최고 수준의 호실적을 거둬왔던 주요은행들이 지난 1분기 실적악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사가 발표한 자료들을 종합하면 지난 1분기 4대 시중은행(신한, KB국민, 우리, KEB하나)의 총 당기순이익은 2조210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2조4732억원 대비 10.63%나 감소한 수치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이 618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해(6005억원) 대비 2.93% 증가하며 4개 은행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이뤘다.

 

지난해 가장 높은 순익을 거뒀던 국민은행은 5728억원으로 2위에 머물렀다. 희망퇴직 비용 등 일회성 요인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7%나 실적이 감소했다.

 

그 다음으로는 우리은행이 539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국민은행의 뒤를 쫒고 있다. 지난해 보다 실적이 2.03% 감소하기는 했지만 하나은행에 비해 적은 감소율을 기록해 순위를 뒤집는데 성공했다.

 

하나은행은 무려 24.05%의 감소율을 기록하며 4위로 하락했다. 4799억원으로 4대 은행 중 유일하게 4000억원대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판매관리비가 6714억원에서 8501억원으로 26.62% 늘어났으며 대손충당금 전입액도 82억원에서 831억원으로 증가했다.

 

4대 시중은행의 총 이자이익은 5조4377억원에서 5조7687억원으로 6.09% 증가했다. 4개 은행이 모두 5~6%대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증가율이 크게 둔화됐다. 지난해 1분기에는 신한은행이 14.1%로 가장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가장 낮은 우리은행도 8.3%에 달했다.

 

순이자마진율(NIM)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1.71%와 1.61%로 동일한 수치를 기록했으며 우리은행은 1.50%에서 1.51%로 0.01%p 상승했다. 하나은행은 1.57%에서 1.55%로 0.02%p 하락했다.

 

비이자이익은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4대 시중은행의 총 비이자이익은 974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조1146억원) 대비 12.53% 줄어들었다. 국민은행이 3454억원에서 2748억원으로 20.44%, 우리은행이 3160억원에서 2690억원으로 14.87% 감소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각각 7.46%, 2%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가계대출 증가율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4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취급액은 471조7110억원으로 지난해(438조6880억원) 보다 7.53% 늘어났다. 국민은행이 8.70%로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했고 하나은행이 6.03%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중소기업 대출 역시 비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4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취급액은 350조5530억원으로 지난해(325조430억원) 보다 7.85% 늘어났다. 신한은행이 9.93%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하나은행(8.41%)과 국민은행(6.86%), 우리은행(6.36%)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대기업 대출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3.94%를 기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