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올해 1분기 30대가 서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주택 등 비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연령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우리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서울 연령대별 비아파트 매수 비중의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을 보면 30대 매수 비중이 4.1%포인트(p)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50대가 3%p, 60대가 2.6%p로 뒤를 이었다.
이는 우리은행이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재가공해 소유권 이전등기 기준으로 2022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서울 연령대별 비아파트 매입비중 추이를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 1분기를 기점으로 30-60대 서울 비아파트 매입 비중은 2024년 1분기까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30대 매입 비중이 늘어난 이유는 올해 수도권 전세가격이 오름세를 타며 역전세 우려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또 높은 아파트 매입가와 대출 이자에 부담을 느끼면서 30대 수요자들이 저리 정책대출(신생아특례대출)이 가능한 비아파트 매수에 나선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1분기 서울 비아파트 30대 매수 비중(18.9%)이 40대 매수 비중(18.4%)을 역전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1월부터 시행된 신생아 특례 저리대출 영향이 작용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실제 통계청의 ‘2023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19만4000건을 기록했다. 연령별 혼인건수는 남녀 모두 30대 초반(평균초혼연령은 남자 34세, 여자 31.5세)이 가장 많았는데 이들은 신생아특례대출의 주 수혜층이라는 분석이다.
기준금리 인상과 전세사기 이슈가 본격화한 과거 2022년 연령대별 매수 비중을 살펴보면 30대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2022년 1분기 대비 4분기 서울 비아파트 매수 비중을 보면 30대가 17.4%에서 13.9%로 3.5%p 감소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이어 40대가 15.4%에서 13.4%로 2%p 감소했다. 주택구입시 대출 의존도가 높은 30대의 경우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주거비용 증가가 비아파트 매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22년 50대, 60대 연령대의 비아파트 매입비중 감소폭은 크지 않았다. 50대는 18.1%에서 16.4%로, 60대는 12%에서 10.7%로 각각 1.7%p, 1.3%p 줄어들었다. 은퇴 후 근로소득이 제한적인 실버 세대는 노후 현금흐름 발생을 목적으로 비아파트를 수익형 부동산으로 운영하거나 실거주 목적으로 주거 자산을 매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와 올해 1분기 30-40대가 매수한 서울 비아파트 주요 지역을 살펴보면 주요 업무지구와 접근이 용이하고 실거주 편의성에 집중된 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초구, 서대문구, 용산구, 동작구에 소재한 비아파트의 경우 강남업무지구(GBD) 또는 도심업무지구(CBD)로의 출퇴근이 용이하고, 동일 소재 지역에 위치한 아파트보다 매입가격이 저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같은 기간 50-60대는 과거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학습 효과를 향유한 세대로 투자 가치를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북구, 성북구, 도봉구, 관악구에 소재한 비아파트의 경우 서울 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투자금액이 적게 들고, 해당 지역 내 다수가 정비사업(모아타운) 후보지역으로 선정된 곳이 많았다.
2022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서울 비아파트 연령대별 매입비중 추이를 보면 30대는 내 집마련 목적이 강하고, 특례 저리 대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여전히 높은 서울 아파트 가격으로 비아파트 시장은 30대에게 내 집마련 할 수 있는 또 다른 주거 선택지다.
남혁우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전문가는 “오는 3분기 신생아 특례 대출의 부부 합산 소득 기준이 2억원으로 높아지면 저금리 정책대출의 적용 대상은 더욱 확대될 예정”이라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착륙 등 건설 경기 회복지원을 통해 30대의 내 집 마련을 돕는 정책 고민이 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