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5.5℃
기상청 제공

직방 거주민, 올해 주요 키워드…‘코로나․슬세권․발망치’

직방 '리뷰 데이터' 분석…주거환경 쾌적성에 대한 중요도 높아져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올해 주요 키워드는 ‘코로나’, ‘슬세권(아파트 단지 인근에서 슬리퍼를 신고 이동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한 상권지역)’, ‘발망치(발소리로 인한 층간소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하는 아파트 단지 거주민이 작성한 ‘직방 거주민 리뷰’ 데이터(3만1041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언급률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키워드는 ‘코로나’였다. ‘코로나’는 지난해 평균보다 2.44배 높은 언급률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슬세권(2.38배)’, ‘발망치(1.98배)’, ‘컨디션(1.87배)’, ‘준신축(1.78배)’순으로 나타났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코로나는 올 1분기에 언급률 3.0%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이후 4분기 들어 1.2%까지 줄어들었다. 슬세권 언급률은 꾸준히 상승해 4분기 현재 1.6%로 코로나보다 높다. 발망치는 4분기 들어 언급률이 크게 상승해 1.1%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발망치 키워드와 연관도가 높은 키워드는 청소기, 떠들다, 진동, 옆집, 위층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층간소음과 벽간소음 이슈에 관련된 키워드들과 높은 연관도를 보였다.

 

직방 관계자는 “실제 거주민 리뷰에서도 위층 혹은 옆집의 발소리로 인한 소음에 대해 불만을 표하는 언급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리뷰 작성자 연령대 및 성별을 보면, 30대 이상 연령층에서 코로나, 슬세권 등의 언급률이 상승한 것과 달리, 20대에서는 향후, 개발, 호재와 같은 부동산 투자 관련 키워드의 언급률이 더 많이 상승했다. 자가 거주민 입장에서 아파트 단지 시설 및 거주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30대 이상에 비해, 20대는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과 투자 자산으로서 부동산 특성에 더 주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직방은 “코로나19의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실내 혹은 주거지역 인근에서의 활동이 많아진 2021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라며 “‘발망치’와 같은 신조어의 등장, 그리고 ‘컨디션’과 같이 주거환경과 관련된 키워드들의 언급률이 상승한 것은 과거에 비해 주거환경 쾌적성에 대한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단계적 일상회복을 진행하고 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높아진 주거 쾌적성에 대한 관심이 앞으로도 지속될지,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주목할 만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결초보은에서 배우는 의사결정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목이 다소 뚱딴지같은 느낌이 든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글자 그대로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고대서 지금까지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어온 고사성어다. 고사성어이지만 그 유래를 모르고 일상용어같이 흔히들 대화에 많이 사용된다. 여기에 의사결정이라, 어떠한 까닭에 결초보은과 의사결정 사이에 우리가 배우고 명심해야할 금과옥조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자못 궁금해진다. 먼저 그 결초보은의 유래를 알아보기로 하자.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진(晉)나라의 장수 위과는 적국인 진(秦)나라의 두회에 연전연패했다. 그 이유는 두회가 워낙 용맹한 장수였기 때문이었다. 전투 전날 위과는 잠을 자다 꿈속에서 ‘청초파로’라는 소리를 들었다. 알아보니 전쟁지역에 청초파라는 언덕이 있음을 알았다. 아마 적장 두회를 청초파로 유인하라는 암시로 보여 그곳으로 두회를 유인한 결과 용맹스러운 두회가 비틀거리며 꼼짝을 못했다. 그 틈을 이용, 두회를 잡아 큰 승리를 거뒀다. 그날 잠을 자는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내가 그 두회의 발을 풀로 묶었기 때문에 꼼짝 못하게 한 거요.” 위과는 “이 은혜를 뭐로 갚아야 할지.”, “아니오, 이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