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토)

  • 흐림동두천 10.6℃
기상청 제공

토허제 해제 한 달…잠·삼·대·청 아파트 거래량 3.6배 ‘껑충’

‘잠실 3대장’이 시장 이끌었다…해제 직후 1주일간 거래량 최대치 기록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서울 강남권의 부동산 시장이 한동안 잠잠했던 침묵을 깨고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2월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이하 ‘잠·삼·대·청’) 일대의 일부 재건축 단지를 제외한 지역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이후,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무려 3.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7일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규제 해제 발표 다음 날인 2월 13일부터 재지정 전인 3월 23일까지 39일간 잠·삼·대·청 지역에서 총 353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이는 직전 같은 기간의 99건과 비교해 무려 3.6배 증가한 수치다.

 

신고가 경신도 크게 늘었다. 해제 전 39일간 13건에 불과했던 신고가 거래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약 6.5배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전체의 신고가 경신 사례 증가폭(2.3배)과 비교해도 두드러지는 상승세다.

 

해제 지역 중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곳은 단연 잠실동이다. 39일 동안 총 135건이 거래됐고, 이 중 ‘잠실 3대장’으로 불리는 리센츠(38건), 잠실엘스(34건), 트리지움(30건)이 시장을 주도했다. 이들 단지는 대규모 커뮤니티, 편리한 교통과 생활 인프라, 우수한 학군까지 갖춘 ‘실거주와 투자 모두 가능한 단지’로 꼽힌다.

 

삼성동(86건), 대치동(71건), 청담동(61건)도 각각 거래가 활발했다. 특히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 대치현대, 청담자이 등이 주요 거래 단지로 부상했다.

 

한편 규제 해제 대상이 아니었던 지역 중에서는 ▲강남구(676건) ▲강동구(652건) ▲송파구(652건) ▲성동구(637건) 순으로 거래가 많았다. 특히 강동구는 최근 집값 급등으로 강남권 진입이 어려워진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합리적인 신축 아파트에 눈을 돌리며 거래가 증가했다.

 

고덕동의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49건), 고덕아르테온(46건), 고덕그라시움(43건) 등이 거래를 견인했다. 송파구 역시 잠실 해제 여파로 헬리오시티(76건), 파크리오(58건) 중심으로 매수세가 확산됐다.

 

거래는 규제 해제 직후 1주일간 122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감소세를 보였다. 이후에는 66건→57건→47건→26건으로 하락했다. 이는 초기 매수세 집중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매물 회수, 매수·매도자 간 가격 격차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3월 19일, 정부는 강남3구 및 용산구 전역을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했다. 이후 4일간 거래량은 소폭 반등했지만, 시장은 다시 관망세로 전환된 모습이다.

 

직방 김은선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규제 재지정과 함께 대출 및 세제 규제가 재적용되면서 매수자들이 눈치보기에 들어갔다”면서도 “경매 시장을 비롯한 일부 고급지에서는 여전히 수요가 몰리고 있고, 공급 부족과 희소성으로 가격 방어력이 강한 만큼,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