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2.8℃
기상청 제공

금융

우리금융, 하반기 과제는?…리스크 관리‧디지털‧ESG ‘방점’

하반기 그룹 경영전략워크숍 개최
손태승 자회사들에 취약계층 대상 방안 강구 요청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하반기 그룹 경영전략워크숍을 개최하고 리스크 관리, 디지털 혁신, ESG 경영, 자회사 본업 경쟁력 강화와 그룹시너지 제고 등을 집중 과제로 선정했다.

 

18일 우리금융은 지난 15일 그룹 본사 비전홀에서 그룹 임원진과 MZ세대 대표 직원 등 약 200여명이 직접 현장에 참석해 ‘2022년 하반기 그룹 경영전략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먼저 지난해 말 완전 민영화를 달성한 만큼 그룹의 대도약과 대약진을 전 임직원이 함께 이뤄가자는 의미에서 행사 슬로건으로 ‘The Great Move’를 내걸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상반기에 양호한 재무실적 등 좋은 성과도 많았지만, 고객 신뢰에 상처를 입은 아쉬움도 컸다”며 “물이 바다라는 목표를 향해 가다 웅덩이를 만나면 반드시 그 웅덩이를 채우고 다시 흐른다는 맹자의 ‘영과후진(盈科後進)’이라는 고사성어처럼 부족했던 점들을 확실히 재정비하고, 하반기는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다시 출발하자”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손 회장은 하반기에 집중해야 할 과제로 복합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리스크관리와 내부통제, 그룹의 미래가 걸린 디지털혁신과 ESG경영, 자회사 본업 경쟁력 강화와 그룹시너지 제고 등 세 가지를 꼽았다.

 

이어 “경영성과도 중요하지만 코로나19와 금리인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한다”라며 “여러 자회사들도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달라” 고 특별히 강조했다.

 

 

이날 워크숍은 코로나19 재확산세를 감안, 자회사 부서장 등 1000여명의 임직원들이 유튜브를 통해 워크숍을 비대면 시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워크숍에서는 상반기에 지주 겸 은행 디지털최고임원(CDO)으로 영입된 옥일진 상무가 우리금융그룹의 디지털 현주소와 로드맵을 발표하는 시간도 가졌다. 또 2부에서는 서스틴베스트 류영재 대표를 특별강사로 초청해 금융과 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강연을 들었으며 고객과 주주, 임직원, 지역사회, 협력사 대표들과 함께 금융을 통해 우리가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상생경영 선포식’도 진행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