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찍먹 리뷰] 넷마블 ‘세나 리버스’, 익숙한 틀 속 변화의 시도, 효과있을까?

화려한 연출‧친숙한 시스템 ‘합격점’…빠른 콘텐츠 소모‧시스템 피로도는 ‘경고등’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넷마블이 내놓은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출시 직후 빠르게 흥행세를 탔다. 익숙한 IP를 기반으로 한 탄탄한 캐릭터성과 업그레이드된 그래픽은 호평을 받았고, 전략성과 편의성을 강화한 콘텐츠 설계는 진입 장벽을 크게 낮췄다.

 

하지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그 속에는 여전히 낡은 운영 철학, 콘텐츠 과소비 구조, 의미를 잃은 성장 시스템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넷마블이 반복해온 ‘퍼주기–방치–이탈’의 악순환이 이번 작품에서도 재현될 조짐이 뚜렷하다.

 

◇ 친숙함에 기대고, 진화는 미약했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전작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 수동 조작 요소는 극히 제한적이며, 자동 전투 기반의 수집형 RPG 포맷은 원작 팬들에게 익숙하게 다가온다. 속공기·CC기 활용도는 높아졌고, 스킬 연출과 캐릭터 모델링도 한층 세련되게 개선됐다.

 

UI와 ‘쫄작’, ‘결투장’ 등 일상 콘텐츠의 접근성도 좋아졌고, 플레이 피로도는 전작 대비 감소했다. 여기에 각종 출석 및 이벤트 보상까지 더해지면서 무과금 유저도 상위 콘텐츠를 비교적 쉽게 체험할 수 있다.

 

문제는 이 편의성이 유저를 오래 붙잡는 장치가 아니라, 콘텐츠를 더 빨리 소모하게 만드는 구조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 빠르게 주고, 빠르게 잊힌다…‘전설’의 무게는 사라졌다

리버스의 핵심 운영 기조는 ‘퍼주기’다. 넷마블은 이번에도 초반부터 최고 등급 캐릭터와 재화를 대량으로 제공하며 유저 몰이에 나섰다. 하지만 그 대가로, 게임의 핵심인 희소성과 성장의 성취감은 완전히 붕괴됐다.

 

과거 세븐나이츠에서 전설 캐릭터는 긴 육성과 반복 뽑기를 통해 어렵게 얻는 ‘목표’였다. 그러나 리버스에서는 로그인 며칠 만에 전설급 영웅이 줄줄이 지급된다. 유저는 더 이상 캐릭터를 ‘얻는 기쁨’도, ‘키우는 의미’도 느끼지 못한다.

 

가치가 사라진 성장 구조에서 남는 것은 피로한 반복뿐이다.

 

◇ 게임 경제 붕괴…재화 인플레이션이 만든 박탈감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퍼주기 운영은 게임 경제 구조 자체를 무너뜨리고 있다.

 

이벤트와 미션을 통해 다이아, 골드, 장비 등이 과잉 공급되면서, 유저가 쌓아가는 자산은 더 이상 ‘축적’이 아닌 ‘소모품’이 되었다.

 

수십 판을 돌며 모았던 보상의 무게는 사라졌고, 클릭 몇 번으로 채워진 인벤토리는 금세 의미를 잃는다.

 

이 같은 재화 인플레이션은 신규 유저에겐 빠른 진입을 가능케 하지만, 장기 유저에겐 보상의 가치 하락과 함께 축적의 보람까지 빼앗는 결과를 낳는다.

 

성장은 더 이상 누적이 아닌 리셋이고, 플레이는 경험이 아닌 소모다. 수집형 RPG의 기본 골격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 끝나지 않는 로딩, 시작조차 막는 피로감

유저 피로를 가중시키는 것은 콘텐츠 구조만이 아니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기본적인 플레이 환경조차 불안정하다.

 

대표적인 문제가 무한 로딩과 모바일 기기 발열 현상이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게임 실행 시 로딩 화면이 수 분간 멈추거나 반복되며, 전투나 결투장 진입, 접속 후 재시작 시에도 지연과 끊김이 반복된다.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게임 시작 자체를 망설이게 만드는 치명적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일부 유저는 이를 피하기 위해 PC 클라이언트 전환을 선택하지만, 이는 근본적 해결이 아닌 임시방편일 뿐이다.

 

넷마블은 성능 최적화나 기술적 대응보다 콘텐츠 추가에 집중하고 있어, “겉만 번지르르하다”는 냉소적 평가가 이어진다.

 

◇ 리버스, 과거로의 회귀인가

현재까지만 보면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흥행에 성공했다. 다운로드 수는 급증했고, 유저 유입도 활발하다. 하지만 이 흐름이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넷마블은 그동안 ‘초반 퍼주기→콘텐츠 부족→유저 이탈’이라는 패턴을 수차례 반복해왔다.

 

이번 리버스도 그 연장선에 있다. 전설 캐릭터의 가치 붕괴, 방치형 전투 구조, 무력해진 성장 동기, 재화 인플레, 여기에 무한 로딩까지.

 

겉은 세련됐지만, 속은 여전히 5년 전 넷마블에서 멈춰 있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분명 잘 만든 게임이다. 하지만 이 게임이 ‘기억에 남는 RPG’로 남기 위해선, 겉모습이 아닌 내부 구조부터 다시 짜야 한다.

 

퍼주기와 편의성에 기대는 방식은 결국 스스로를 소모시키는 구조다. 유저는 이제 게임의 진심을 더 빨리 파악하고, 더 빠르게 떠난다.

 

넷마블이 진정 이 IP를 살리고 싶다면, 방향을 틀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리버스는 또 하나의 '휘발된 실험'으로 기록될 뿐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