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흐림동두천 10.5℃
기상청 제공

경실련 “보유세 찔끔 인상…빈부격차만 야기할 것”

시세 반영 못 하는 공시가격, 근본적 개혁 필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참여연대, 헨리조지포럼, 민달팽이유니온 등 시만단체 7곳은 28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광화문 재정개혁특위 사무실 앞에서 ‘자산불평등 해소 위한 보유세 강화촉구 시민사회’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박가람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참여연대, 헨리조지포럼, 민달팽이유니온 등 시만단체 7곳은 28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광화문 재정개혁특위 사무실 앞에서 ‘자산불평등 해소 위한 보유세 강화촉구 시민사회’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박가람 기자]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시민단체들이 재정개혁특위의 보유세 개편안은 단순한 증세일 뿐 부동산 불평등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부동산 부자들이 서민들보다 세금을 더 적게 내거나 안 내는 이유는 공시지가 등 불합리한 과세기준 때문인데, 세율이나 과세표준을 소폭 조정하는 것으로는 찔끔 증세 효과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들 단체는 부동산 상위 10%가 전체 토지 80~90%를 차지하는 빈부격차가 완화되려면 보유세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참여연대, 헨리조지포럼, 민달팽이유니온 등 시만단체 7곳은 28일 오전 10시 30분 서울 광화문 재정개혁특위 사무실 앞에서 ‘자산불평등 해소 위한 보유세 강화촉구 시민사회’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김성달 경실련 부동산·국책사업감시팀장은 “강남 땅부자들은 다른 지역에서 사는 서민들보다 더 적은 세금을 낸다”라며 “공평과세를 기준으로 보유세 세율 인상이 수반돼야 불평등이 해소된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재정개혁특위는 ▲공정시장가액비율 연간 10% 포인트씩 인상 ▲최고세율 2.5%(주택 기준)까지 인상 ▲공정시장가액비율 및 세율인상 ▲1주택자와 다주택자의 차등 관세 등 4가지 보유세 개편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개편안에는 부동산 과세의 기초가 되는 공시가격에 대한 내용은 없다. 시민단체들은 서민들이 소유하는 아파트의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70%인 반면, 부자들이나 대기업들이 보유한 토지나 빌딩의 시세반영률은 불과 30~40%에 불과하다며, 공시가격 등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국토 대부분을 소유한 상위 10%가 누리는 막대한 불로소득에 제대로 세금이 매겨지지 않아 불평등이 심화됐다”며 “공평과세는 국민들의 요구임에도 정부는 세금을 올리면, 집주인들이 세입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는 식의 논리로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금제도 개편 과정에서 초기에는 서민들에게도 세금 부담이 생길 수는 있지만,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세율을 낮추면 된다”라며 “보유세 개편안이 시행돼도 공시가격 등 불공정한 과세체계에서는 여전히 세금을 내야 할 사람이 내지 않는 문제가 계속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이태경 헨리조지포럼 사무처장은 “부동산 세금제도가 벌어진 빈부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며 “국토보유세 등 조세형평성 차원에서 보다 담대한 개혁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결초보은에서 배우는 의사결정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제목이 다소 뚱딴지같은 느낌이 든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글자 그대로 풀을 엮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고대서 지금까지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어온 고사성어다. 고사성어이지만 그 유래를 모르고 일상용어같이 흔히들 대화에 많이 사용된다. 여기에 의사결정이라, 어떠한 까닭에 결초보은과 의사결정 사이에 우리가 배우고 명심해야할 금과옥조가 숨겨져 있는 것일까 자못 궁금해진다. 먼저 그 결초보은의 유래를 알아보기로 하자.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진(晉)나라의 장수 위과는 적국인 진(秦)나라의 두회에 연전연패했다. 그 이유는 두회가 워낙 용맹한 장수였기 때문이었다. 전투 전날 위과는 잠을 자다 꿈속에서 ‘청초파로’라는 소리를 들었다. 알아보니 전쟁지역에 청초파라는 언덕이 있음을 알았다. 아마 적장 두회를 청초파로 유인하라는 암시로 보여 그곳으로 두회를 유인한 결과 용맹스러운 두회가 비틀거리며 꼼짝을 못했다. 그 틈을 이용, 두회를 잡아 큰 승리를 거뒀다. 그날 잠을 자는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내가 그 두회의 발을 풀로 묶었기 때문에 꼼짝 못하게 한 거요.” 위과는 “이 은혜를 뭐로 갚아야 할지.”, “아니오, 이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