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6.7℃
기상청 제공

[9·13 부동산대책] 거래 뚝 끊긴 지방 미분양, 최대 10곳 추가지정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정부가 지정 기준을 완화해 미분양 관리지역을 최대 10곳까지 추가지정할 계획이다.

 

정부가 13일 공개한 부동산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미분양 관리지역을 최근 3개월간 미분양물이 500세대 이상이고, 월 감소율이 10% 미만인 지역으로 지정기준을 낮추기로 했다. 1000세대 이상이었던 기준 기준을 대폭 끌어 내린 것이다.

 

지방 미분양 관리지역의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위축지역 특례 보증제도’도 개선할 방침이다.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제도 >

 

구 분

현 행

특례보증(미분양관리지역)

신청기한

전세계약 1/2 경과 전

전세계약 종료 6개월전

구상권행사

(임대인)

대위변제 후 6개월 유예

민법상 지연배상금 5%

대위변제 후 6개월 유예

6개월간 지연배상금 면제(0%)

[표=기재부 제공]

 

보증가입 신청기한 연장이 전세계약 종료 6개월 전으로 개편되고, 6개월까지 임대인에 대한 구상권 행사 및 지연배상금 부과를 면제받게 된다.

 

분양보증 발급 예비심사 결과 미흡 등급에 대해서는 분양보증 발급 거절하고 3개월 이상 지난 후 재심사를 실시한다.

 

분양보증 발급 제한의 기준이 되는 미흡 점수가 현행 60점에서 62점으로 올려 밀어내기식 공급과잉을 차단한다.

 

미분양 관리지역 내 LH 공공택지 공급시기를 조절하고, 내년부터 일반 공공분양주택의 착공 예정물량 사업시기를 조정할 방침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