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22.9℃
기상청 제공

[국감] 면세한도 초과물품 비중, 명품핸드백이 '절반'

4년간 135억원 초과...금액 2위는 시계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해외여행객이 면세한도를 초과해 가져간 물품 중 해외명품 핸드백이 1위를 차지했다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4년간 전체 해외여행객의 면세한도 초과 적발물품 12만 2050건중 해외유명상품 핸드백(가방 포함) 적발건수가 3만3152건(27.2%)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는 포도주가 1만5200건(12.5%), 해외유명 시계가 8340건(6.8%)으로 각각 뒤를 따랐다.

 

부과세액별로도 해외유명상품 핸드백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면세한도 초과로 부과한 세액 278억6200만원 중 해외유명상품 핸드백의 비중은 48.6%(135억5000만원)으로 거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해외유명상품 시계는 62억2700만원으로 22.3%를 차지했다.

 

국가별 적발실적으로는 일본여행객이 2만9446건, 적발세액 53억9500만원에 달했으며, 중국여행객은 2만5783건, 41억800만원 수준이었다.

 

김 의원은 “연간 3만여명이 면세한도 초과구매로 적발되고 있다”며 “적발될 경우 가산세 40% 가 부과되므로, 해외여행객들의 성실한 자진신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만성적 내수불황, 제대로 된 민생추경이 답이다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2024 회계연도 세입‧세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작년 세수결손액(본예산 대비)은 –30.8조원인데, 이 중 법인세 감소분(-15.2조원)이 절반 가까이 된다. 정부가 건전재정을 국정 기조로 격상한 이후 2023년 –56.4조원에 이어 2년 연속 대규모 세수펑크 사태가 발생한 셈이다. 문제는 세수 충격이 중산층과 서민경제 전반에 걸친 증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민생분야는 ‘긴축을 통한 경기부양’이라는 역설적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 사이클이 만성적 내수불황의 주범인 이유다. 2022년 이후 ‘자기파괴적 세수펑크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중산층과 서민경제는 만성적 내수불황의 늪에 빠진 상태다.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가 건전재정 중독에 빠져 재정은 더 불건전해지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민생긴축 압력을 높이는 악순환(세수펑크⟶고강도 민생긴축⟶내수불황⟶성장률 쇼크⟶추가 세수펑크) 경제가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실패로 검증된 건전재정 기조를 전면 폐기하고, 중장기 균형 재정으로 정책 기조를 전환해야 한다. 특히, 제대로 된 민생추경을 통해 내수불황을 타개할 근본 대책을 담아내야 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