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5.7℃
- 흐림강릉 2.7℃
- 구름조금서울 6.2℃
- 구름조금대전 6.5℃
- 흐림대구 5.8℃
- 흐림울산 3.7℃
- 구름조금광주 8.1℃
- 구름많음부산 7.5℃
- 구름많음고창 5.7℃
- 맑음제주 9.4℃
- 맑음강화 5.6℃
- 구름많음보은 4.6℃
- 흐림금산 5.1℃
- 맑음강진군 8.3℃
- 구름많음경주시 3.5℃
- 구름많음거제 9.0℃
기상청 제공
[라이브 방송] 복지형 가족신탁 활성화를 위한 법제 및 세제 개선방안 세미나
관련기사
-
[신탁돋보기] 부동산관리, 신탁으로 해결…“자산가치↑ 번거로움↓”
2021-02-02
-
[신탁돋보기] 세상에 홀로 남겨질 자녀 위한 선택 '미성년자 신탁'
2020-12-24
-
[신탁 돋보기] 치매신탁, 웰다잉으로 가는 법…치료비에 상속까지 한 번에
2020-12-21
-
[신탁 돋보기] 사망 1년전 신탁하면 유류분 걱정없이 ‘재산몰아주기’ 가능
2020-11-26
-
[동영상-가족신탁] 김도형 금융조세포럼 회장 인사말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김종상 조세금융신문 대표이사 인사말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안경봉 교수 '가족신탁 세미나' 소개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오영표 변호사 "후견신탁 위해 생명보험금청구권 도입 고려되야"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이환구 변호사 "장애인특별부양신탁 증여세 면제 한도 늘려야"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오상민 변호사 "부동산 전업신탁사에 재신탁, 자본시장법 개정 필요한가?"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김상훈 변호사 "의결권과 배당권 분리, 현행법상 가능한가"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배정식 센터장 "유언장 복잡한 절차, 신탁으로 해결 가능"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박순우 교수 "복지 중심으로 신탁 바라봐야"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질의응답 및 폐회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이환구 변호사 "증여시기가 중요"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최영렬 박사 "가족신탁 설계시 취소가능성 고려해야"
2020-11-20
-
[동영상-가족신탁] 이전오 교수 "가족신탁 성장 가능성 높아"
2020-11-19
-
[동영상-가족신탁] 좌장 이중기 교수 "가족신탁에 법제·세제 상 해결 과제 많아"
2020-11-19
-
[동영상-가족신탁]오영표 본부장 "신탁으로 전세담보 대출 가능"
2020-11-19
-
[동영상-가족신탁] 홍상준 사무관 "신중하게 법제 개편에 접근해야"
2020-11-19
-
[복지형 가족신탁] 가족신탁 활성화 옭매는 자본시장법…신탁법과 충돌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선진국은 특별수요신탁 있다는데 한국은 왜…장애인 부모 울리는 지원금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가족신탁 과세설계…수익자보다 취소가능성 초점 맞춰야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신탁 유연성, 타 업권과 상충 우려…법제상 신중히 접근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오상민 변호사 “신탁회사에 임차인 대항력 인정, 자칫 혼란 커질 수 있어”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유언대용신탁 의결권 15% 제한, 상속분쟁에 가업 휘청인다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신탁 접근 어렵다?…‘대리점 제도’가 열쇠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22년째 제자리인 장애인부양신탁…“복지형 세제지원은 해줘야”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후견신탁, 수탁가능재산 범위 확대로 활성화 도모
2020-11-13
-
[복지형 가족신탁] 유언대용신탁, 개인재산인데 금산분리원칙 적용 '웬말'
2020-11-13
-
[동영상] 복지형 가족신탁 활성화…산‧학‧정 제도개선 머리 맞댔다
2020-11-13
-
김병욱, 13일 ‘복지형 가족신탁 활성화’ 법제 및 세제 개선 세미나 개최
2020-11-11
-
[신탁 속 세상] 칼같이 장애수급 끊는 행정…장애인 신탁 등 보조 필요
2020-11-10
-
[신탁 속 세상] 부모 잃은 아동의 버팀목 ‘후견인 신탁’
2020-11-09
-
[신탁 돋보기] 제도개선 제자리 걸음…자본시장법 개정 ‘하세월’
2020-11-07
-
[신탁 속 세상] 노인 열 중 한 명이 치매…효자 노릇하는 신탁
2020-11-06
-
[신탁 돋보기] 신탁 ‘수탁고 1000조’ 시대, 새 먹거리 부상한 이유는?
2020-11-05
-
[신탁 속 세상] 고인 뜻대로 못하는 유산처분…유언대용신탁이 해결한다
2020-11-05
-
[가족신탁 세미나] 제도개선 거친 ‘가족신탁’, 저소득층 복지도 책임진다
2020-11-03
-
[동영상] '복지형 가족신탁 활성화 세미나' 오는 11월 13일 개최
2020-11-03
[시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적 가치 높여야
(조세금융신문=나종호 (사)한국강소기업협회 상임부회장)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에 공동체 의식과 협력, 그리고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코로나로 감염이 확산되자 많은 자원봉사자, 의사, 간호사들이 생업을 놓고 대구로 향했다. 정부는 빠른 진단과 투명한 정보공개로 대응했다. 이런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세계가 주목하는 모범적인 선진 방역국이 되었고, 이로 인해 얻는 ‘K방역’의 신뢰성이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처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활동이 위기 속에 기회가 되고 있고, 기업경영에서도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경영활동이 중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글로벌 트렌드가 되고 있기도 하다. ESG은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을 경영전략에 반영하는 것으로 이른바 ‘착한경영’으로 불린다. 즉, ESG경영은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활동으로 기업이 자원 재활용 등 환경 보호에 앞장서고,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과 사회공헌활동을 하며, 법과 윤리를 철저히 준수하는 지배구조 확립을 실천해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경영이념이다. 유럽이나 미국 등 선진국의 투자자들은 “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