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6.3℃
기상청 제공

창립 61주년 캠코, ‘키우미 다녀올게요!’...SNS 이벤트 실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 권남주)는 창립 61주년을 맞아 창립기념주간인 3일부터 16일까지 마스코트인 키우미와 함께하는 ‘키우미 다녀올게요!’ SNS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본 이벤트에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캠코 공식 인스타그램(@kamco_kiwoomi)에서 키우미 필터를 이용해 인증샷을 찍어 개인 인스타그램에 해시태그(@kamco_kiwoomi, #키우미다녀올게요)와 함께 스토리를 업로드하면 참여가 완료된다.

 

특히, 캠코 공식 인스타그램에 좋아요, 팔로우 및 댓글을 달면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다.

 

추첨을 통해 △1등(상상그이상, 1명) 갤럭시 탭 S8, △2등(작품감상, 2명) 애플워치 SE 2세대, △3등(키여움치명상, 3명) 마샬 블루투스 스피커 등 총 41명에게 푸짐한 경품을 증정한다.

 

당첨자는 19일 발표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캠코 SNS 채널(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신뢰를 잃고 전략 없이 성공하는 정책은 이 세상에 없다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국민연금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됐지만, 일하는 3040 세대의 상당 수가 불만을 표시한 것이 국민들의 대표(제발 그 이름값을 하기를!)의 표결 결과에서 드러났다. 그러니 바로 지금이 가계의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과 금융투자, 부동산 문제를 되돌아 볼 적기다. 한국 가계경제의 특징은 독특하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교육을 거의 완전히 사교육에 의존하도록 만들어 모든 소득계층에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있다. 사교육의 결과를 보면 그 가성비는 매우 낮다. 전 계층에서 사교육비를 쓰지 않아도, 아니 어쩌면 쓰지 말아야 더 많은 인재가 모든 분야에 골고루 나올 것이다. 그런데 사교육 결과 모든 소득계층 학생들의 문해력은 떨어지고 평생학습동기는 고갈되며 통찰적 사고능력이 떨어진다. 직업도 오로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의사로 쏠리는 기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가성비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사교육에 많은 돈을 지출한 결과, 학부모의 노후준비는 거의 포기해야 할 지경이다. 여러 이유로 10위권 밖으로 성큼 밀려난 한국의 세계경제순위와 무관하게, 오래전부터 악명 높은 노인빈곤율이 그 결과물이다. 가계 부문에서 착실히 자산을 형성해 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