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7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7℃
  • 맑음강릉 22.6℃
  • 흐림서울 19.0℃
  • 흐림대전 18.5℃
  • 구름많음대구 20.1℃
  • 구름많음울산 20.0℃
  • 구름많음광주 17.4℃
  • 구름많음부산 19.9℃
  • 구름조금고창 17.2℃
  • 구름많음제주 17.3℃
  • 구름많음강화 17.2℃
  • 구름많음보은 17.4℃
  • 구름많음금산 15.5℃
  • 구름많음강진군 16.3℃
  • 구름많음경주시 17.7℃
  • 구름많음거제 18.5℃
기상청 제공

은행

하나은행, 퇴직연금 세미나 개최…삼중고 돌파전략 전수

퇴직연금 운용관리법‧관련 상품 등 소개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하나은행이 퇴직연금 가입 손님의 올바른 자산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14일 ‘2022 하나은행 퇴직연금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세미나는 서울과 수도권 소재 하나은행 영업점과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 제도를 운용중인 기업의 퇴직연금 담당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됐다.

 

특히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에 따라 지난 12일부터 시행된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의 도입방법 및 지정 가능 금융상품 등 주요 개정사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또 최근 급변하는 금융시장 환경 하에서 손님의 안정적인 연금 자산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하나은행 기업뱅킹을 통한 손쉬운 퇴직연금 운용관리 방법 ▲순자산 10조원 규모로 급성장중인 TDF 상품 ▲연금운용 목적에 맞춘 디폴트옵션 활용방안 등 하나은행만의 퇴직연금 자산관리 꿀팁을 전수하는 시간도 가졌다.

 

현명한 투자전략을 위한 세션도 마련됐다. 가치 투자의 대가로 불리는 강방천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을 초청해 고금리‧고인플레이션‧고변동성인 글로벌 투자시장의 삼중고를 헤쳐나갈 수 있는 연금 운용전략을 대담 형식으로 생생하게 풀어냈다.

 

김기석 하나은행 자산관리그룹 부행장은 “연금자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만큼, 퇴직연금사업자로서 더욱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앞으로도 손님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금자산 운용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2018년 이후 매년 2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 2022년 전체 퇴직연금 적립액 23조원을 돌파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개인이 직접 운용하는 DC형과 IRP가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손님관리 전담조직을 확대하고, 8월 출시 예정인 모바일 기반 서비스 ‘디지털 연금닥터’ 등 손님들에게 더욱 쉽고 편리하게 다가갈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히로시마 G7 정상회담 초청받은 한국, 진짜 실리는 지금부터
(조세금융신문=이상현 편집국 부국장) 선진 7개국 정상회담(G7)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지난 21일 막을 내렸다. 예상대로 국내에서는 여야가 상반된 평가를 내렸다. 집권 국민의힘은 ‘실리외교를 위한 윤석열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다자회의에서 G7과의 협력을 통해 취약국과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중추국가 위상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반면 야당은 ‘그림자에 그친 들러리 외교’였다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이 후쿠시마 오염수와 수산물 문제에 침묵했다는 지적이 비판의 주된 초점이었다. 여야 각각의 평가에서 한걸음 물러나 G7 회원국 전체의 성과를 보자면 국제관계의 진영화를 돈독히 해서 ‘신냉전’의 공고화를 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한때 지구촌 의제를 이끌던 G7이 2023년에는 크게 저하된 모습이다. 우선 금융 및 경제 안정을 위해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자임했던 G7 국가들은 2023년에 찾아 볼 수 없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극명해진 것처럼, 회원국 내의 의견 불일치는 명백히 드러나 버렸다. G7은 최근 몇 년간 경제는 물론 국제정치, 외교 영역에 그다지 큰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중국과 인도 등의 급성
[인터뷰] ‘광장’ 김민후 미국변호사, 인도네시아와 첫 APA 체결 이끌어..."빅4보다 우리가 낫죠"
(조세금융신문=이상현 기자) 한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기업들이 국제조세 분야 자문/대리 용역을 글로벌 4대 회계법인(빅4)에 맡기면, 해외 현지 자회사/관계회사 등도 당연히 현지 빅4 지점(branch or member firm)과만 수임해야 하므로, 업무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외 자회사/관계회사 소재국과의 세금 문제인 국제조세의 경우, 특정 국가 과세당국과의 ‘쌍무적’ 협정이 많고, 현지 ‘빅4’ 계열 회계법인이 반드시 가장 뛰어난 문제해결 능력을 보유했다고 볼 수 없는데, 어떤 경우에도 ‘빅4’ 네트워크만 이용해야 한다면 낮은 성과를 감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법무법인 광장 소속 국제조세 전문가인 김민후 외국변호사(Senior Foreign Attorney)는 5월초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모기업이 글로벌 ‘빅4’와 수임하면 해외 자회사 등도 무조건 현지 빅4 회계법인과 수임을 종용 당하는데, 이런 관성에서 벗어나 현지화 수준이 높고 국제조세 분야 경험과 전문성이 탁월한 전문가를 까다롭운 절차를 통하여 선임하여 이들과 협업하는 것이 국제조세 분야 성과의 관건”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한국 국세청과 인도네시아 국세청은 최근 인도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