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8 (화)

  • 맑음동두천 0.0℃
  • 맑음강릉 4.2℃
  • 맑음서울 1.4℃
  • 구름조금대전 3.3℃
  • 맑음대구 6.4℃
  • 맑음울산 5.9℃
  • 맑음광주 5.8℃
  • 맑음부산 7.6℃
  • 맑음고창 3.8℃
  • 구름조금제주 10.0℃
  • 맑음강화 -0.6℃
  • 맑음보은 2.7℃
  • 맑음금산 2.8℃
  • 맑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6.0℃
  • 맑음거제 7.7℃
기상청 제공

은행

[속보] 검찰, '대장동 의혹' 곽상도 자택·하나은행 본점 압수수색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대장동 개발 로비‧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관상도 전 의원의 자택에 이어 하나은행 본사도 압수수색하고 있다.

 

17일 하나은행은 이날 오전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검사)이 본사에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현재 검찰은 대장동 사업 초기 하나은행 컨소시엄이 꾸려진 과정을 포함해 정치권·법조계 로비가 이뤄졌는지 등을 파헤치고 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이날 오전 곽 전 의원 자택과 그가 쓰던 사무실 등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곽 전 의원이 대장동 개발 사업에 뛰어든 화천대유자산관리 측에 도움을 주고, 그 대가로 아들을 화천대유에 취업시켜 퇴직금 명목으로 50억 원을 받은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은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와 남욱 변호사, 하나은행 관계자 등을 조사하던 중 ‘곽 전 의원이 하나은행 컨소시엄 무산 위기를 막아줬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 초기 화천대유가 참여한 하나은행 컨소시엄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자 김 씨 부탁을 받은 곽 전 의원이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측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이다.

 

현재 곽 전 의원이나 김 회장 측은 이 같은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상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 폐지의 영향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의 폐지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가 지난 3월 폐지되었다. 별장 중과세 규정은 1973년 사치·낭비 풍조를 억제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농어촌지역에 소재한 별장을 더 이상 특정 계층만이 소유하는 고급 사치성 재산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는 국민들의 의식변화를 고려해 별장에 대한 취득세와 재산세 중과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점증하게 되자, 중과세 규정을 폐지하는 내용의 지방세법개정안이 2020년 제안되고, 개정안이 올해 국회를 통과하면서 별장 중과세는 50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별장의 취득세는 도입 당시 표준세율의 7.5배 수준을 유지하다가, 폐지 직전에는 취득세 기본세율에 중과세율 8%를 가산해 부과하였다. 별장의 재산세는 도입 당시 일반재산세율의 2배(0.6%)였다가, 2005년 종합부동산세가 도입되면서 별장 재산세 중과세율이 과세표준의 4%로 1%p 인하되어 부과되어 폐지직전까지 계속되었다. 별장의 개념 별장의 개념에 관해 종전 지방세법은 “주거용 건축물로서 상시 주거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휴양·피서·놀이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과 그 부속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