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

[여행칼럼] 젓갈 백반과 풀치 조림- 곰소 자매식당

 

(조세금융신문=황준호 여행작가) 부안 여행에서 빠뜨릴 수 없는 곳이 곰소항이다. 아늑하고 한적한 항구 풍경이 정겨워 부안에 올 때마다 들러 항구와 염전도 보고 어시장서 건어물을 사기도 한다. 평일이어서 그런지 어시장은 한산하지만 문 닫은 가게 없이 상인들은 유유자적이고, 가게마다 꾸덕꾸덕 말리는 풀치며 건어물 또한 즐비하다. 격포나 내소사를 연계한 여행객들로 인해 주말에는 제법 붐빈다고 한다.

 

곰소에 오면 꼭 들르는 젓갈 백반집이 있다.  젓갈로 유명한 곰소항 인근에는 젓갈을 주메뉴로 내놓는 젓갈 전문 식당이 여럿 있는데 그중에 내가 단골로 들르는 백반집은 곰소 수산물 종합시장 맞은편에 있는 자매식당이란 곳이다. 여느 관광식당처럼 규모도 크지 않고 주차할 곳도 마땅치가 않다. 내부 역시 앉은뱅이 식탁이 놓여있는 소박한 모습이다. 하지만 맛으로는 곰소에서 빠지지 않는다.

 

 

젓갈 정식과 풀치조림이 주 메뉴다. 주문을 하면 명란젓, 어리굴젓을 비롯하여 낙지젓, 갈치속젓 등 아홉 가지의 젓갈이 올라오고 곁들여 졸인 풀치와 게장무침, 그리고 밑반찬이 한 상 가득 올라온다.

 

젓갈은 생각보다 짜지 않고 담백하다. 쓰인 재료에 따라 각기 다른 맛을 내며 입맛을 돋운다. 짭조름한 향과 갓 지은 흰쌀밥이 입안에서 어우러지니 밥 한 그릇은 눈 깜짝할 사이 비워지고 만다.

 

밑반찬으로 나오는 졸인 풀치 역시 칼칼하며 개운하다. 햇빛에 꾸덕꾸덕해질 때까지 말린 풀치를 쓰기 때문에 일반 갈치조림에서 날 수 있는 비린 맛이 전혀 없다. 풀치 조림은 갈치조림과 함께 별도의 메뉴로도 내놓는데, 다른 지역에서는 맛보기 힘들어서 곰소에서는 풀치 조림을 맛보는 게 좋다.

 

 

 

초여름이 오기 전까지 잡히는 어린 갈치를 일컬어 풀치라 한다. 풀치는 살이 연하다. 생물 그대로 조림하면 살이 문드러지기 십상이어서 말린 다음 매콤한 양념을 넣고 조림해서 먹는데, 다른 반찬이 필요 없을 정도로 밥도둑이다.

 

자매식당에서 풀치 조림과 함께 단골들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은 갈치조림이다. 들어가는 재료는 풀치 조림과 같다. 국내산 생갈치로 끓여내기 때문에 갈치살이 부드럽고 전혀 비리지 않다. 함께 들어간 무, 감자와 곁들여 먹으면 그 맛이 배가된다. 특히 이곳 갈치조림은 국물이 있는 조림이어서 국물에 밥을 비벼 먹어도 좋다.

 

곰소젓갈은 강경젓갈, 광천 젓갈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젓갈 생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곰소에는 국내 최고 품질의 천일염 생산지인 곰소염전이 있다. 곰소에서 담그는 젓갈은 그곳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1년 이상 간수 제거한 후 밑 재료로 사용한다.

 

거기에 곰소만에서 잡아 올리는 싱싱한 생선과 자연 바람, 그리고 기후 등 숙성하기에 최적의 요소를 갖춘 지리적 여건이 쓴맛이 없고 담백하며 맛과 향이 뛰어난 곰소 젓갈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곰소에서는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어느 식당에 가도 이렇듯 맛깔스러운 젓갈을 내놓는다.

 

곰소에 오면 그래서 늘 과식을 걱정하곤 한다. 하지만 걱정은 밥상을 받는 순간 현실이 되어 눈 깜짝할 사이에 두어 공기 밥그릇을 비워내고 만다. 젓갈 역시 호불호(好不好)가 분명한 저장 음식이지만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잃어버린 입맛을 살리는 데 최고의 음식임이 틀림없다.

 

곰소염전

 

배를 두둑이 채우고 나서 염전으로 향한다. 문헌에 따르면 곰소지역에서는 이미 5백여 년 전부터 염전이 있었으며, 지금의 염전은 일제강점기에 정비하여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곳 염전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타지역 소금에 비해 미네랄이 10배가량 풍부하고 마그네슘이 거의 들어있지 않으며 간수가 적어 소금 특유의 쓴맛이 나지 않아 최고의 소금으로 평을 받는다. 특히 해 질 무렵 염전으로 떨어지는 낙조가 아름답다.

 

내소사 전나무숲길

 

내소사 전나무 숲길은 7월이면 푸르름이 더 짙어져 숲길을 걷는 것만으로도 상쾌하고 싱그럽다. 일주문에서 절 앞까지 600여 미터 이어지는 전나무 숲길은 여러 매체를 통해 걷고 싶은 아름다운 길로 선정되기도 했다.

 

 

백제 무왕 때 창건된 사찰이니만큼 내소사 경내에는 대웅보전, 고려 동종 등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가 많으며 특히 대웅보전 꽃 문살은 우리나라 장식무늬의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

 

직소폭포

 

체력이 허락한다면 내변산의 명소인 직소폭포를 다녀와도 좋다. 내소사에서 산세를 따라 폭포까지 걷는 내내 우거진 숲과 계곡이 이어지고 있어 지루하지 않다.

 

 

유순하게 흐르던 계곡물은 직소에 이르러 30미터 절벽 아래로 곤두박질친다. 수량이 풍부할 때는 물 떨어지는 소리가 우렁차서 주변 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다.

 

채석강과 적벽강

 

부안을 대표하는 명소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곳이 채석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만 권의 책을 켜켜이 쌓아 놓은 모습을 띠고 있어 채석강이라 불리는 이곳은 억겁의 세월 동안 파도에 씻기고 깎여 오늘의 절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채석강과 다른 형태의 퇴석층인 적벽강은 붉은 암벽과 그 너머로 떨어지는 낙조가 일품이다.

 

 

[프로필] 황준호(필명: 黃河)

•여행작가

•(현)브런치 '황하와 떠나는 달팽이 여행' 작가

•(현)창작집단 '슈가 볼트 크리에이티브' 상임이사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관치금융의 덫에 걸린 농협금융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최근 농협금융지주와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NH투자증권 사장 인선을 놓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여기에 금감원까지 가세하면서 관치금융에 대한 논란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의 연임 도전과 관련이 있다. 정 전 사장은 옵티머스 펀드 사태를 일으켜 금감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장본인이다. 여기에다, 폐쇄적인 조직운영, 개인 사법리스크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6년간 장기 집권에 성공한 저력을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태가 범농협 차원의 규제 리스크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영채 전 사장이 4연임에 도전하자,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쟁점을 살펴보면, 농협중앙회는 이번에는 농협 출신 인사를 추천해 NH투자증권의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반면,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자본시장 전문가를 앉혀야 한다고 반발하면서 농협중앙회와 마찰이 일어난 것이다.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이석준 지주회장의 말도 일리가 있고, 범농협 차원의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는 대주주의 판단도 일리가 있다. 참고로, 농협중앙회는 농협금융지주 지분 100%를 소유한 1인 최대 주주다. 문제는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