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

[여행칼럼] 인도차이나반도를 종단하다(7) - 호치민의 주요 관광지

 

 

 

(조세금융신문=황준호여행작가) 천만에 가까운 사람들이 모여 사는 호치민시는 베트남 경제를 이끄는 경제수도이다. 지리적으로 중요한곳에 위치해 있어 일찌기 크고 작은 격변을 겪어왔으나, 오늘날 베트남에서 가장 활동적이며 국가 경제를 이끄는 상업수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호치민에는 볼거리와 즐길거리, 먹거리가 다양하다.

 

주요 관광지는 대부분 호치민 최대 번화가인 1군에 있어 이동하기가 편하다. 이들 관광지 주변으로는 다양한 카페거리, 시장, 그리고 식당들이 즐비하다. 호치민을 여행한다면 최소 1박 2일의 일정을 두고 최대 번화가인 1군 거리를 비롯하여 시내곳곳을 여유 있게 여행하시기를 권한다.

 

노트르담 대성당(Notre Dame Cathedral)

호치민시 1군 지역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은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지 시절에 건축된 가톨릭 성당으로 성모마리아 대성당으로도 불린다. 건축 당시 프랑스에서 벽돌을 직접 공수해와 정교하게 쌓아 올린 까닭에 베트남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당 가운데 한 곳으로 손꼽는다.

 

건물은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내부는 스테인드글라스 등으로 세련되고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2017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보수공사로 인해 완전한 성당 모습을 볼 수 없지만 보수 공사 후 달라져 있을 성당의 모습이 기대된다. 40m 높이의 두 첨탑과 성당 광장에 서 있는 성모 마리아상이 인상적인 노트르담 대성당은 호치민을 찾는 관광객들이 빠지지 않고 들르는 필수코스로써 호치민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다.

 

통일궁(Dinh Thong Nhat)

통일궁은 남베트남의 대통령궁으로 사용되던 곳으로 프랑스 식민시절에는 프랑스 총독관저로도 사용한 곳이다. 통일궁은 20세기 베트남 역사에 있어서, 특히 호치민 시민들에게는 애증과 애환이 서려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베트남전쟁에 참여했던 미군이 물러난 후 1975년 4월 30일 북베트남의 탱크가 이곳 통일궁을 장악함으로써 남베트남의 수도였던 사이공(현재의 호치민시)이 함락된다. 이로써 10여 년간 치러오던 남북 전쟁이 종식되고 비로소 베트남은 통일된 국가를 이루게 된다.

 

 

 

 

대통령궁은 이러한 현대 남베트남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장소로 오늘날에는 당시 대통령집무공간을 그대로 재현해서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당시 소련제 전차와 헬리콥터 등이 전시되어 있다.

 

전쟁박물관(Exhibition of War Crime)

나라를 막론하고 전쟁의 역사가 없는 곳이 없다. 베트남 역시 수백 년 동안 무수한 전쟁을 치르며 국가를 유지해왔다. 그 가운데 베트남에서 발발한 전쟁은 20세기 전쟁 역사에서도 가장 참혹했던 전쟁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고스란히 전시되어 있는 곳이 호치민 전쟁박물관이다.

 

처음 설립목적은 전쟁범죄를 고발하고 전쟁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전쟁박물관에는 헬리콥터, 전투기, 전차 등 베트남전 당시 미군이 사용했던 무기들과 당시 포로수용소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특히 고엽제로 인한 피해사례를 전시해 놓은 곳에서는 그 실상이 충격적일 정도로 참혹하여 차마 눈뜨고 보기 어렵다.

 

당시 고엽제에 피폭된 피해자들은 본인들뿐만 아니라 2세, 3세에게까지 유전되어 그 고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하니 전쟁의 참혹함을 이들이 생생하게 증언해주고 있다.

 

사이공 중앙우체국 (Saigon Central Post Office)

사이공 중앙 우체국은 파리 에펠탑을 건축한 구스타브 에펠이 설계한 작품으로 1891년에 세워졌다. 이 건축물에는 고딕, 르네상스, 그리고 프랑스 양식까지 다양한 건축기법이 적용된 건축물로 호치민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 가운데 한 곳으로 손꼽히고 있다. 내부는 오르세미술관을 본떠 설계한 아치형 천장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도 우편 및 통신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다양한 기념품도 판매하고 있다.

 

 

 

 

사이공스퀘어, 벤탄 시장(Ben Thanh Market)

호치민을 여행하는 한국 사람이라면 한 번쯤 꼭 들른다는 호치민 최대의 짝퉁 시장이 사이공스퀘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 브랜드의 짝퉁 제품은 거의 있다고 보면 된다. 물론 호치민 인근에서 생산하는 정품들도 이곳 사이공스퀘어에서 간혹 만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전문가가 아닌 이상 진품과 짝퉁을 구별해내기 어렵다.

 

영업시간은 보통 저녁 8시면 문을 닫는다. 벤탄 시장은 호치민을 대표하는 최대의 재래시장이다. 우리나라 남대문 시장과 비슷하다. 4000여 개에 달하는 다양한 상점들에서는 농산물뿐만 아니라 수공예품점, 공산품 가게, 다양한 로컬음식을 맛볼 수 있는 식당이 들어서 있다. 특히 저녁이 되면 야시장이 열린다.

 

시장의 역사는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사이공 강가에서 살던 상인들이 이곳에서 상거래를 시작하며 장터가 형성되었는데, 그 시장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