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 가업상속공제 ④ OECD국가 대비 상속세 비중은 찔끔↑, 소득세는 대폭↓

한국보다 상속세 낮은 OECD 주요국, 직접세 부담률 최소 7.9%p 높아

 

상속세 때문에 평생 가업을, 평생 재산을 잃는다. 가업상속공제 확대 논의가 올초 급속도로 번지면서 상속세의 본질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세금은 공익 목적에서 걷지만,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그 합의는 단순히 다수가 동의한다고 해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공정성을 기준으로 해당 국가의 상황에 맞추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편집자 주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상속세가 우리 조세체계에서 어떻게 운영되는 지 보려면 전체 조세체계를 뜯어봐야 한다.

 

우선 국가재정은 크게 세금과 4대 보험금처럼 사회보장기여금으로 구성된다. 이 둘을 합친 것을 국민부담률이라고 하는데, 이 부담률이 높으면 클수록 국가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야경국가로 대표되는 초기 자본주의에서는 국가의 역할이 작았지만, 현대 복지국가 체계에서는 국가의 역할이 크고, 그 역할이 클수록 국민부담률 역시 높다.

 

2014년 기준 OECD 35개 국가의 GDP 대비 평균 국민부담률은 34.2%로 한국은 24.6%로 35개국 중 33위에 불과하다. 일분은 32.0%이며, 미국은 25.9%다.

 

이는 한국 정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OECD 국가들에서 GDP 내 세금이 차지하는 비중(조세부담률)은 25.1%, 사회보장기여금은 9.1%인데, 한국은 세금 비중 18.5%, 사회보장기여금은 6.1%에 불과하다.

 

OECD 주요국가 중 상대적으로 세금이 낮은 일본의 조세부담률은 19.3%, 미국은 19.7%로 한국보다 높다.

 

이를 거꾸로 말하면 한국은 세금도 적게 걷고, 정부의 기여도도 낮다는 의미다.

 

한국의 GDP 대비 조세부담률이 낮은 이유는 개인소득세 때문이다.

 

GDP 대비 소득세수는 OECD 평균 8.4%지만, 한국은 4.0%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한국보다 더 낮은 나라는 체코, 멕시코, 슬로바키아, 칠레 수준인데, 미국은 10.2%, 일본은 6.1%에 달한다.

 

한국은 공제를 제외하고 세율로만 치면 OECD 국가 중 꽤 높은 국가에 속하지만,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체가 낮아 큰 의미가 없다.

 

OECD 주요국가들의 GDP 대비 상속세 비중은 벨기에가 0.7%로 가장 높고, 프랑스 0.5%, 일본 0.4%, 스페인, 한국이 0.3%였다.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 독일, 핀란드, 아일랜드, 영국, 스위스가 0.2%, 노르웨이, 미국이 0.1% 정도다.

 

한국은 다른 국가들보다 세율이 높지만, 공제가 많기 때문에 상속세를 가지고 호들갑 떨 수준은 아니다.

 

OECD 회원국의 각 세목별 세수비중을 보면 상황은 우리 조세체계가 어떻게 구성됐는지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아래의 표는 한국의 전체 세금 수입에서 직접세인 개인소득세, 상속세·증여세, 기타 재산세의 비중을 OECD 평균과 비교한 것이다.

 

구분

한국

일본

OECD

OECD

상위 5개국

OECD

하위 5개국

개인소득세

22.3%

31.3%

32.0%

덴마크

미국

핀란드

캐나다

독일

54.1%

54.7%

43.0%

42.8%

42.6%

칠레

슬로바키아

체코

터키

헝가리

7.8%

16.9%

19.2%

20.6%

20.6%

상속세·증여세

1.7%

2.0%

0.5%

벨기에

일본

한국

프랑스

스페인

2.3%

2.0%

1.7%

1.7%

1.2%

슬로바키아

스웨덴

포르투갈

오스트리아

캐나다

0.0%

0.0%

0.0%

0.0%

0.0%

재산세

4.4%

10.6%

5.3%

미국

캐나다

영국

일본

이스라엘

13.6%

13.0%

11.8%

10.6%

10.0%

오스트리아

체코

에스토니아

터키

멕시코

1.1%

1.2%

1.4%

1.4%

1.8%

총합

28.4%

43.9%

37.8%

-

-

 

이 표를 보면, 국내가 개인에 대한 직접세가 OECD 평균은 물론 우리와 경제여건이 비슷한 일본보다 훨씬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직접세란 개인 소득과 재산의 크기에 맞춰 내는 세금으로 더 벌고, 더 가진 부자가 더 내고, 빈자는 덜 낸다. 응능원칙은 조세형평성을 구성하는 전 국가적인 조세원칙이다. 반면 부가가치세, 담뱃세 등 간접세는 빈자와 부자와 무관하게 거래에 따라 내는 세금이다.

 

한국은 상속증여세가 OECD 국가들보다 1.2%포인트 정도 더 걷지만, 개인소득세는 9.7%포인트, 재산세는 0.9%포인트나 더 낮다.

 

유산세인 재산세와 상속증여세 비중을 합치면, 한국은 OECD 평균과 거의 같아지지만, 압도적인 개인소득세에서의 격차는 채우는 정도는 아니다.

 

OECD 주요국가 중 우리보다 GDP 상속세 비중이 낮은 국가 중 개인소득세를 적게 걷는 나라는 단 한 곳도 없다.

 

이들 국가들의 전세 세수 대비 개인소득세 비중은 덴마크 54.1%, 미국 51.7%, 독일 42.6%, 핀란드 43.0%, 스위스 41.2%, 노르웨이 34.1%, 네덜란드 31.0%, 영국 33.7% 등이다. 한국은 22.3%다.

 

유산세인 재산세와 상속증여세를 합친 비중은 한국은 6.1%인데 미국(14.3%), 영국(12.6%), 스위스(7.7%)는 우리보다 높았다.

 

우리보다 유산세 비중이 작은 네덜란드(5.3%), 노르웨이(3.4%), 덴마크(3.2%), 독일(2.8%)의 개인소득세와 유산세 비중(개인 직접세 부담률)의 합은 네덜란드 36.3%, 노르웨이 37.5%, 덴마크 57.3%, 독일 45.4%였다.

 

한국보다 상속세 부담이 낮은 OECD 주요국 중 개인 직접세 부담률이 가장 낮은 나라는 네덜란드지만, 한국의 28.4%보다 7.9%포인트 높았다.

 

개인에 대한 낮은 조세부담률은 그다지 긍정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개인소득세와 재산세, 상속증여세는 부자일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는 구조다.

 

이들의 비중이 낮다는 건 한국의 부자들은 OECD 국가들에 비해 세금을 덜 내고 있다는 셈이 된다.

 

상속세는 상속재산 최소 10억원 이상의 자산가들이 내는 세금으로 이들의 세금을 깎아주거나 폐지하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서민에게 돌아간다. 국가의 기여도도 낮아지면, 복지 등 정부 재정에도 제동이 걸린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현재의 소복지에서 중복지가 되려면, 세금부담도 소부담에서 중부담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용원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 팀장은 “한국의 상속세가 높다는 잘못된 인식이 퍼져 있지만, 개인소득세를 비교해보면 한국의 개인소득세 등 조세부담률은 턱없이 낮다”며 “대신 개인소득세나 재산세를 올린다면, 상속세 폐지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지만, 아무런 조정 없이 상속세를 폐지한다면 조세형평성이 깨진다”라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